남부발전, 삼척빛드림본부 '안티드론' 장비 구축
남동발전, 여수발전본부에 드론 100대 추적체계 마련
전문가 “대드론 방호체계 법적 체계 개선 시급"
|
9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남부발전은 이르면 내년 3월까지 삼척빛드림본부에 대드론 방호체계 구축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남부발전은 약 16억1800만원을 투입해 드론탐지레이더, EO/IR 카메라, 고정형 재머, 관제시스템, 감시모니터 등 21개 품목을 도입한다. 드론탐지레이더는 반경 3km 이상, 최소 탐지거리 100m 이하의 성능을 요구하고 있다. 레이더 반사면적(RCS) 0.01㎡급 초소형 드론까지 탐지·식별할 수 있어야 한다.
남부발전은 이번 대드론 방호체계 구축 배경에 대해 "드론을 활용한 테러와 불법 촬영 가능성이 커지고 있는 만큼 국가 전력 기반시설인 발전소에 대한 방호 대책 마련이 필요했다"는 설명이다. 또 정부기관에서도 드론 테러 위협 대응체계 마련 요구가 있던 것으로 알려졌다.
남동발전도 15억원 투자해 내년 2월까지 여수발전본부에 대드론체계 구축을 진행하고 있다. 드론탐지레이더와 EO 카메라, 통합운영시스템 등 요건도 동일하다. 남동발전은 드론 100대 이상을 동시 추적할 수 있는 성능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발전사는 이같은 구축 입찰을 진행하면서 계약 수행 기관에 내년 2월 말까지 장비 공급과 설치·검사·훈련·시험운영을 완료할 것을 주문한 상태다.
서부발전도 지난 6월, 평택발전본부에 안티드론시스템 구축을 진행했고, 바로 다음 달에도 7억원을 투자해 '안티드론 시스템 고도화' 작업을 진행 한 바 있다. 당시 서부발전은 추가 고도화 작업 필요성에 대해 "북한 오물풍선 등과 같은 불법 개조된 비인가 무동력 물체 탐지 기능을 높이기 위함"이라고 설명한 바 있다.
전문가들은 국가중요시설 대드론체계를 단단히 갖추기 위해선 법·제도 개선도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조상근 카이스트 국가미래전략기술 정책연구소 교수는 "통합방위법 등에는 국가중요시설에 대한 대드론체계 위협이 구체화되거나 설치해야 된다고 명확하게 구체화하지 못하고 있다"면서 "실제로 드론 위협이 고조되는 상황인데도 사회적 공감대도 여전히 미진하다"고 지적했다. 또 "이후에 대드론체계가 제대로 작동하기 위해선 법제도와 근거를 명확히 만들어야 단순 장비 도입을 넘어 관련 운용·조직 편성 능력을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