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용술 국민의힘 대변인은 이날 논평에서 "국민이 위험에 처한 뒤에야 대통령이 지시를 내리는 사후 대응 행태가 되풀이되고 있다"며 "국민 생명을 지키는 일보다 늦은 보고와 형식적 절차에 매달리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캄보디아 내 한국인을 겨냥한 범죄가 수차례 발생했음에도 정부는 늘 '확인 중'이라는 답변만 반복했다"며 "그 사이 국민들은 폭력과 공포 속에 방치돼 왔다"고 했다.
당내에서는 이번 사건을 '인명 대응 시스템의 붕괴'로 이어지고 있다고도 했다.
이충형 대변인은 논평에서 "가장 참담한 것은 피해자 부모가 협박 전화를 받고 대사관과 경찰에 신고했지만 아무런 실질적 조치가 없었다는 점"이라며 "캄보디아 내무부가 '도움을 요청받은 적이 없다'고 밝힌 만큼 정부의 대응이 사실상 공백 상태였던 것 아니냐는 의문이 제기된다"고 꼬집었다.
이어 "이번 비극은 납치나 살해 같은 비상 상황에서 현지 경찰과 즉시 협력할 수 있는 체계가 부재했기 때문"이라며 "정부는 재외국민 보호 시스템을 전면 재점검하고, 위기 상황에서 실제 작동하는 매뉴얼을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