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尹정부 망가진 1060일 파헤칠것"
野 "재난대응 부실·무능 정부 심판"
|
여야가 각각 '전 정부 책임론'과 '현 정부 무능론'을 내세운 여론전에 나서는 등 최대 관전 포인트는 '책임 공방'이 될 전망이다.
12일 정치권에 따르면 이번 국감에선 지난달 26일 대전 본원에서 발생한 국정자원 화재 사건의 기초 안전수칙 미준수와 관리 부실이 주요 질의 대상이 될 전망이다.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는 단순한 사고가 아니라 재난 대응의 총체적 부실을 드러낸 사건"이라며 "당시 배터리 분리 부속 전원을 차단하지 않았고, 충전율이 80%에 달한 상태에서 작업이 진행된 사실이 확인되고 있다"고 말했다.
국가기록원의 '12·3 비상계엄 관련 기록물 관리 부실' 문제도 쟁점으로 부상하고 있다. 대통령실·국방부가 '회의록이나 발언 요지는 보유하지 않는다'고 회신한 점을 두고, 야당은 '늦장 대응'이라 비판하고 여당은 '국가기록원의 고유 관리 권한 문제'라고 맞서고 있다.
국감 첫날부터 행정안전위원회를 중심으로 여야 공방이 예고되면서 정면충돌할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 나온다. 여기에 검찰·사법, 경제, 안보 등 각 상임위에서도 굵직한 현안이 줄줄이 대기 중이어서 여야 충돌이 불가피하다는 전망이 제기된다.
|
이에 더불어민주당은 이번 국감을 '독재 저지 국감'으로 규정하고 검찰·사법·언론 개혁 과제의 완수를 강조하고 있다. 박수현 수석대변인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윤석열 정부 1060일 동안 망가진 국정을 철저히 파헤치겠다"며 "여당으로서의 책임을 잊지 않고 국민의힘이 무너뜨린 국정에 차원이 다른 대안을 제시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국민의힘이 '이재명 정부에 의해 박살 난 130일의 무능과 독선을 바로잡는 민생국감을 만들겠다'고 논평했는데, 이런 상황을 표현하기 위해 '적반하장'과 '후안무치'라는 말이 생겨난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