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 군수는 14일 군청 별관4층 대회의실에서 열린 기자회견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이어 "아직도 고인 외에 조사를 받고 있는 다수의 우리 공직자들이 있다"면서 "그들의 공직생활 명예가 훼손되지 않도록 고문변호사 지원 확대, 조사 대상 공직자를 위한 심리상담, 정당한 행정행위로 인한 사법기관 조사 시 공직자 지원 방안 마련 등 군에서 할 수 있는 모든 행정력을 총동원할 것이며, 이후에도 고인의 명예가 훼손되지 않도록 각고의 모든 노력을 다할 것이다"고도 했다.
또 전 군수는 "억울함을 호소할 통로조차 없이 스스로를 지켜야 했던 고인의 죽음 앞에서 우리 모두는 국가 제도와 역할을 다시 묻지 않을 수 없다"며 "양평군 공직자들이 부당한 압박 없이 본연의 사명을 다할 수 있도록 끝까지 책임지고 지킬 것이다"고 강조했다.
전국공무원노동조합 경기지역본부 양평군지부도 이날 입장문을 내고 "이번 사건은 양평 공흥지구 개발 특혜 의혹 특검 조사 과정에서 발생한 심리적 압박이 직접적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음에도 특검 측은 언론을 통해 강압적 조사 사실을 부인하며 책임을 회피하고 있다"면서 "그러나 이번 사태가 특검과 무관하다는 주장은 설득력을 얻기 어렵다"고 밝혔다.
아울러 △조사 과정의 투명성 확보를 위해 고인이 생전 제기한 강압적 조사 의혹을 철저히 규명하고 조사 절차의 공정성을 면밀히 검증해야 하며 △공직자 보호 장치를 위해 조사·감사 대상자를 위한 심리적 지원 체계와 과도한 압박을 방지할 수 있는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더욱 강화할 것을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