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광양, 온실가스 40% 감축 목표 녹색도시 실현 속도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021010007142

글자크기

닫기

광양 나현범 기자

승인 : 2025. 10. 21. 09:47

203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보급 온실가스 18만 1000톤 감축
기후위기 대응 탄소중립과 대기질 개선에 다양한 정책 본격 추진
기후변화주간 캠페인 추진
전남 광양시는 지난 5월 '제1차 광양시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2025~2034)'을 수립하고, 2030년까지 2018년 대비 온실가스 40% 감축을 목표로 설정했다. /광양시
전남 광양시가 기후위기에 대응 도시로 도약하기 위해 중장기 전략 수립과 현장 실행사업 실시 등 탄소중립과 대기질 개선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본격적으로 추진해 지속가능한 녹색도시 실현을 위한 기반 구축에 속도를 낸다.

21일 광양시에 따르면 지난 5월 '제1차 광양시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2025~2034)'을 수립하고, 2030년까지 2018년 대비 온실가스 40% 감축을 목표로 설정했다.

기본계획은 △건물 △수송 △폐기물 △농축산 △흡수원 등 5개 부문, 14개 추진과제, 71개 세부사업으로 구성돼 있다. 시는 향후 5년간 연차별 이행평가를 통해 사업 추진상황을 점검하고, 이행률 제고를 위한 대책 마련과 신규 온실가스 감축사업 발굴을 병행해 2030년 감축목표 달성과 탄소중립도시 실현을 단계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 주요부문별 주요 감축 전략을 보면 건물 부문은 공공건축물의 에너지 자립화, 건물 에너지 효율화,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등을 통해 약 18만 1000톤의 온실가스를 감축할 계획이다.

수송 부문은 전기차 보급 확대와 충전 인프라 확충, 내연기관 저탄소화 등을 통해 4만 3000톤 감축 목표,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를 위한 '탄소중립포인트제(자동차)' 등 경제적 인센티브 정책도 병행한다. 폐기물 부문은 생활폐기물 저감을 위한 시민 홍보 강화, 자원회수시설 및 통합 바이오 가스화시설 조성 등 재활용 활성화 정책으로 6만톤 감축을 도모하게 된다.

농축산 부문은 저탄소 농업기술 도입과 친환경농업 확산을 통해 3000톤 감축을 추진하며 흡수원 부문은 도시숲 조성 등 신규 탄소흡수원 확대로 1만 4000톤 감축을 계획하고 있다.

광양시는 주요 행정계획 수립에만 그치지 않고, 대기질 개선을 위한 현장 실행사업에서도 가시적인 성과를 내고 있다. 2025년 현재까지 노후 경유차 조기폐차 6307대(170억원), 매연저감장치(DPF) 부착 693대(26억원), 건설기계 엔진 교체 105대(15억원)에 총 211억원을 투입해 수송·건설 부문에서 발생하는 배출가스를 저감했다.

아울러 미세먼지 계절관리제 운영과 경보 발령체계 구축에 더해, 도시대기 측정소 5개, 대기중금속 측정소 2개, 국가산단 감시시스템 15개소를 포함한 총 22개의 측정망을 구축해 체계적으로 대기환경을 관리하고 있다.

친환경 교통 전환도 속도를 내고 있다. 시는 2024년까지 전기자동차 3025대에 대해 총 509억원의 구매보조금을 지원한 데 이어, 2025년에는 전기승용차 344대, 전기화물차 84대, 전기이륜차 7대, 전기버스 2대를 새롭게 보급해 친환경차 보급 기반을 한층 강화했다. 아울러 전기자동차 보급 확대 흐름에 맞춰 전기자동차 충전시설 총 1890기를 구축·지원한 결과 등록된 전기차의 약 57%가 동시에 충전 가능한 수준에 도달했다.

내년부터는 시민 참여와 의견 수렴을 위한 소통이 보다 본격화된다. 시는 2026년 '제1회 광양시 탄소중립 포럼'을 개최해 기후변화 대응과 녹색성장 전략에 대한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경험과 지식을 공유하고, 향후 정책 방향을 함께 논의할 계획이다.

정인화 시장은 "광양시는 지금까지 차근차근 쌓아온 토대를 바탕으로 대기개선 정책을 체계적으로 추진해 나가고 있다"며 "앞으로도 기후위기 대응 역량을 강화하고, 시민과 함께 건강하고 지속가능한 녹색도시를 실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나현범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