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9일 오경석 두나무 대표가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담의 부대행사로 열린 CEO 서밋의 기조 연설자로 나서 금융시장의 미래에 대해 입장을 전했다. 그는 "블록체인과 스테이블코인의 도입은 아직 초기 단계로 그 성장 잠재력은 실로 막대하다"라며 "블록체인 혁명에서는 한국과 두나무가 글로벌 파트너들과 함께 새로운 금융 질서를 구축할 기회를 맞이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오 대표는 "돈의 역사는 단순히 형태가 바뀌어온 것이 아니라 그 가치를 보증하는 주체가 어떻게 변화해왔는가에 대한 역사"라며 "법정화폐가 국가 기관이 신뢰를 보증했다면, 오늘날 디지털 자산의 시대에는 알고리즘과 네트워크의 합의에 의해 이 신뢰를 보증하는 구조"라고 말했다. 여기에 "돈의 형태가 진화할수록 거래비용은 줄어들고, 시장은 확장되었으며, 금융은 더욱 성장했다. 지금 우리는 법정화폐와 디지털 자산이 공존하며 서로의 강점을 보완하는 시대에 살고 있다"라고 덧붙였다.
실제 전 세계 디지털 자산 보유자 수는 5억 6000만 명으로 동남아 전체 인구와 맞먹는 수준으로 상위 21개 디지털 자산 지갑은 12억 회 이상 다운로드 됐다. 아울러 디지털 자산과 블록체인의 상징이 된 비트코인은 현재 세계 7대 자산으로 자리매김했다.
이에 오경석 대표는 블록체인과 스테이블코인이 불러올 미래를 공유했다. 오 대표는 "블록체인 기술은 분산원장을 통해 중앙화된 기관의 개입 없이 네트워크 참여자 간 거래기록을 공유, 검증하며 네트워크 자체가 신뢰를 보증하는 시스템을 탄생시켰다"라며 "한 번 기록된 데이터는 변경할 수 없어 개인은 자신이 만들어낸 정보에 대한 진정한 소유권을 갖게 된다"라고 전했다. 이어 "이러한 이유로 블록체인은 흔히 '미래의 금융'이라고 불린다"라며 "오랫동안 블록체인은 전통 금융 시스템과 단절된 영역에 머물러 있었지만 이 둘을 잇는 가교가 바로 스테이블코인"이라며 강조했다.
현재 스테이블코인의 시가총액은 약 3000억 달러로 430조500억원에 달한다. 오 대표는 "거래소 기반 스테이블코인이 시장 시가총액의 압도적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는 거래소가 중심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보여준다"라고 전했다.
그는 새로운 금융질서를 선도하기 위해 두나무가 준비 중인 4가지 서비스에 대해서도 설명했다.두나무는 △금융에 최적화된 블록체인으로 스테이블코인 발행과 유통을 지원하는 기와체인(GIWA Chain) △웹2와 웹3를 자연스럽게 연결하는 지갑 서비스인 기와월렛(GIWA Wallet) △30개국 150개 기관을 연결해 수십억 달러의 거래를 검증하고 있는 글로벌 트래블룰 솔루션 베리파이바스프(VerifyVASP) △기관 투자자를 위한 디지털 자산 보관 서비스인 업비트 커스터디를 서비스 하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글로벌 금융 인프라 기업으로 진화하겠다는 포부다.
오 대표는 "지금은 '돈을 설계하는 시대'가 아니라 '신뢰를 설계하는 시대다. 두나무는 한국에서 시작해 아시아로 확장하고, 더 나아가 글로벌 무대로 나아가며 '통화와 글로벌 금융 시장의 미래'를 위한 새로운 모델을 만들어 나가겠다"라고 전했다.
한편, 지난 28일부터 31일까지 경주에서 열리는 APEC CEO 서밋에는 각국 최정상급 기업인들이 참석한다. 젠슨 황 엔비디아 CEO와 맷 가먼 AWS CEO, 사이먼 칸 구글 아시아태평양 부사장, 사이먼 밀너 메타 부사장, 안토니 쿡 마이크로소프트 부사장 등 글로벌 테크 리더들이 기조 연설자로 이름을 올렸다. 제인 프레이저 씨티그룹 CEO, 데이비드 힐 딜로이트 아시아태평양 CEO 등 세계 금융을 주름잡는 경영인들도 함께한다.








![[사진자료 1] 두나무 오경석 대표가 29일 경주예술의전당 화랑홀에서 열린 ‘APEC CEO 서밋 코리아 2025’에서 ‘통화와 글로벌 금융시장의 미래’를 주제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https://img.asiatoday.co.kr/file/2025y/10m/29d/202510290100209850012544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