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전남경찰청, 46억 보험금 편취·대포폰 밀수출 조직 60명 검거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110010004717

글자크기

닫기

남악 이명남 기자

승인 : 2025. 11. 10. 10:17

전국망 보험사기 일당 검거…보이스피싱·마약 등 범죄 악용
전남경찰청
전남경찰이 대포폰으로 해외 범죄조직에 밀수출한 보험사기 조직 일당을 검거했다. 사진은 대포폰 압수물./전남경찰
전남경찰청은 고가의 스마트폰을 개통한 뒤 허위로 분실 신고를 해 보험금 46억원을 편취하고, 이를 대포폰으로 만들어 해외 범죄조직에 밀수출한 보험사기 조직 일당 60명을 검거했다고 10일 밝혔다.

경찰에 따르면 도경 형사기동대는 지난 7월 대포폰 양산·유통 조직의 총책 A씨(42)와 B씨(39)를 비롯해 총 60명을 검거했으며, 이 중 7명을 구속했다. 압수된 장물 휴대전화는 256대(시가 4억 원 상당)로, 범죄수익금 28억 2000만원은 기소 전 추징·보전됐다.

조사 결과, 이들은 서울·인천·대구·광주 등 전국 각지에서 통신사 대리점과 대부업체를 운영하며 '내구제 대출' 광고를 내걸고 명의자를 모집한 것으로 드러났다. 모집된 명의로 다수의 스마트폰을 개통한 뒤 허위 분실 신고를 통해 보험금을 챙기고, 세탁된 휴대전화를 해외 범죄조직에 넘긴 것으로 밝혀졌다.

이렇게 유통된 대포폰은 보이스피싱, 마약 거래, 투자 리딩방, 불법 사금융 등 각종 범죄 수단으로 악용된 것으로 확인됐다.

전남경찰청은 "최근 피싱 범죄는 대포폰과 대포통장을 이용해 불특정 다수를 노리고 있으며, 특히 청년층과 저신용자 등 금융 취약계층을 표적으로 하고 있다"며 "단순히 소액의 현금을 받기 위해 휴대전화를 넘기는 행위도 명백한 불법"이라고 강조했다.

또 경찰은 "급전이 필요하다는 이유로 '대출 심사용', '신용등급 개선용' 등의 명목에 속아 휴대전화나 금융계좌를 개통·양도하는 행위는 피싱 범죄에 악용될 수 있다"며 "이미 개인정보가 유출된 경우 명의도용방지서비스를 통해 확인하고, 통신사에 가입제한·소액결제 차단을 신청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전남경찰청은 앞으로 형사기동대 전담팀을 중심으로 대포폰·대포통장 근절을 위한 강력한 단속을 이어가고, 불법 유통과 범죄수익 추적·환수에 총력을 기울일 방침이다.
이명남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