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건은 개인 의료 데이터 수집 규제 극복
|
미국 경제매체 비즈니스인사이더는 10일(현지시간) 관계자들을 인용해 오픈 AI가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 비서나 건강 데이터 집계 도구 등의 제품 개발을 논의 중이라고 보도했다.
오픈AI는 최근 건강관리 사업과 관련된 인재들을 채용했다. 지난 6월에는 의료 플랫폼 '독시미티'의 공동창업자 네이트 그로스를 영입했고, 같은 해 8월에는 인스타그램 부사장이었던 애슐리 알렉산더를 자사 건강 제품 부사장으로 앉혔다.
그로스는 지난달 열린 디지털 헬스케어 박람회 'HLTH 2025'에서 챗GPT의 주간 이용자가 8억명에 달하며, 그 중 상당수가 의료 관련 질문을 한다고 말했다.
앞서 구글·마이크로소프트(MS)·애플 등 빅테크 기업들도 의료 관련 분야로 진출하려 했지만, 의료 데이터 수집에 대한 규제 때문에 큰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다.
구글의 건강 관련 기술 자회사 '베릴리'는 환자의 의료 데이터를 무단으로 사용하고 이를 은폐한 혐의로 소송을 당하기도 했다.
비즈니스인사이더는 오픈AI가 의료 플랫폼과의 협업을 통해 관련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식으로 규제 문제를 극복할 수도 있다고 분석하며 이미 일라이 릴리, 사노피 같은 제약사들과 신약 개발을 위해 협력 중이라고 전했다.
오픈 AI는 기업들과 파트너십을 맺는 방식을 통해 다른 분야의 사업으로 진출해 왔다.
지난달에는 미국 최대 유통업체인 월마트와 파트너십을 맺고 챗GPT로 물건을 구매할 수 있는 서비스를 내놓겠다고 발표하며 인터넷 쇼핑 사업으로의 진출을 선언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