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창원시 “지역 中企 위한 육성자금 지원제도 확 뜯어고친다”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119010009999

글자크기

닫기

창원 허균 기자

승인 : 2025. 11. 19. 16:34

상환방식 다양화·대환 허용·중대재해예방 강화
★2025년 4분기 경제일자리국 정례브리핑(경제일자리국) (1)
박진열 경남 창원시 경제일자리국장(오른쪽 두번째)이 19일 시청 브리핑실에서 내년도 중소기업육성자금 지원제도 개편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창원시
경남 창원시가 글로벌 경제환경 변화 대응과 지역 중소기업의 경영 안정화를 위해 육성자금 지원제도를 전면 개편한다.

창원시가 19일 발표한 중소기업육성자금 지원제도 개편안에는 △상환방식 선택 가능 △대환용도 사용 허용 △중대재해예방 강화를 위한 특례 지원 확대 등의 내용이 담겼다.

먼저 중소기업육성자금의 상환방식이 기존에는 '2년 거치 후 일시상환' 방식이었으나, 이 방식은 만기 시점에 큰 금액을 한꺼번에 상환해야 하는 부담이 있어 자금 운용에 어려움을 겪는 기업들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했다.

시는 기존의 '2년 거치 후 일시상환' 방식에 '2년 거치 후 1년 분기별 균등상환' 방식을 추가하여, 기업들의 자금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했다.

특히 '2년 거치 후 1년 분기별 균등상환' 방식의 경우, 기 대출자와의 형평성을 고려해 기존 거치기간 2년 동안은 연 2.5%의 이차보전을, 이후 분기별 균등상환 기간인 1년 동안은 연 1.5%의 이차보전을 지원한다.

가장 주목할 변화는 기존 대출금을 갚기 위한 대환 용도의 자금 사용이 허용됐다는 점이다. 종전에는 지원받은 자금을 기존 대출금 상환에 사용할 수 없어 많은 기업들이 고금리 대출을 유지해야만 하는 부담을 안고 있었다.

하지만 이번 제도 개편으로 통해 경영안정자금을 대환 용도로 활용할 수 있게 되면서, 고금리 대출을 보유한 기업들이 저금리 대출로 전환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이를 통해 기업들은 자금 운용의 부담을 덜고 유연성을 크게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 중소기업육성자금 특례지원 대상이 기존 21개에서 '중대재해예방 컨설팅 신청 업체'를 추가하여 총 22개로 확대된다.

박진열 시 경제일자리국장은 "기업별 상황에 맞춘 유연하고 실질적인 지원 정책을 통해 기업 경쟁력 강화를 이루는 데 중점을 뒀다"며 "앞으로도 지역 중소기업을 위한 다양한 시책 마련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허균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