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남교육청은 본청과 22개 교육지원청에 파업대책 상황실을 설치하고, 현장 혼란을 즉각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긴급 대응팀을 구성했다. 각급 학교에는 '교육공무직원 파업 대응 매뉴얼'을 배포해 파업 상황에서도 학생 안전과 교육과정 운영에 차질이 없도록 사전 대비를 강화했다.
교육청은 파업 참여 인력 규모에 따라 가장 큰 영향을 받을 급식·돌봄·특수교육 분야에 학교별 맞춤형 대책을 마련했다.
급식은 단축수업, 빵·우유 등 대체 급식, 도시락 지참 안내 등을 통해 공백을 최소화하고, 초등돌봄교실은 내부 인력을 활용해 운영을 유지하기로 했다. 특수교육 또한 학교별 대책 수립과 단축수업 등을 통해 학생·학부모 불편을 줄일 계획이다.
또 행정·보건 등 학교 운영 핵심 분야에 대한 대응을 강화하고자 교육청과 교육지원청 상황실을 상시 가동한다.
전남교육청 관계자는 "교육부와 시도교육청은 노동조합의 요구에 성실히 교섭에 임할 것"이라면서도 "노동자의 쟁의권은 존중하지만 학생들의 학습권과 안전이 희생되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이어 "학생과 학부모에게 피해를 주는 파업 계획을 재고해 달라"고 노동조합에 촉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