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후지원→선제투자 패러다임 전면 전환
내년 6000명 시작, 2030년 1만6000명 확대
|
서울시는 19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이런 내용이 담긴 청년 일자리 분야 신규사업 '서울 영커리언스'를 발표했다. 이번 사업은 '제3차 청년 정책 기본계획(2026~2030)'의 핵심으로, 연간 지원 규모는 내년 6000명을 시작으로 2030년 1만6000명까지 확대를 목표로 한다.
김철희 시 미래청년국장은 "우리나라의 경우 대학 졸업 후 첫 취업까지 걸리는 기간은 평균 11.5개월, 체감 기간은 36개월로 OECD 국가 평균(6개월)에 비해 두 배 가까이 길다"며 "조사 결과 청년과 기업이 공통으로 원하는 것은 '실제 경험'이었다. 재학 시절부터 단계적으로 역량을 쌓고 도전할 기회를 만들어 나가도록 돕겠다"고 밝혔다.
프로그램은 학년과 준비 단계에 따라 △캠프 △챌린지 △인턴십Ⅰ △인턴십Ⅱ △점프업 등 5단계로 구성됐다. 대학교 1~2학년과 비진학 청년을 주 대상으로 하는 1단계 '캠프'는 본격적인 경력 형성에 앞서 AI 역량검사, 현직자 멘토링 등을 통해 자신에게 맞는 진로와 직무를 탐색하는 과정이다. 대학교 2~3학년을 위한 2단계 '챌린지'는 앞서 탐색한 진로를 바탕으로 직접 관심 있는 기업과 프로젝트 주제를 선정해 과제를 해결하며 포트폴리오를 구축하게 된다.
3~4단계 '인턴십Ⅰ·Ⅱ'에서는 기업 현장에서 실제 업무를 경험한다. 최대 18학점까지 인정받는 '현장실습 학기제'로 운영해 학업과 경력을 동시에 잡을 수 있다. 5단계 '점프업'은 졸업 후 일자리를 찾지 못한 청년을 위해 청년취업사관학교 등과 연계해 직무 교육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시는 이달 중 이미 확보한 3500개 기업과 13개 공공기관을 바탕으로 참여기업을 모집하고, 내년 봄학기부터 본격 운영할 계획이다.
오세훈 시장은 이날 대학생 대상 오픈토크에서 청년들에게 현실적인 조언을 건넸다. 오 시장은 "하고 싶었던 일이 아닐 수도 있고, 미래 커리어에 도움이 될지 확신이 없어 더 나은 첫 직장을 찾고 싶다고 생각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라면서도 "처음부터 조건이 완벽한 직장을 고집하기보다 실질적인 일 경험을 통해 자신의 적성과 방향을 확인하는 과정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비교적 경쟁이 약한 곳에서도 얼마든지 남들이 생각하지 못하는 정말 값지고 가치 있는 역량을 쌓을 수 있다"며 '역발상'을 통한 경험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