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광주 민간·군공항 통합이전, 전남·광주·무안 ‘큰 틀 합의’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119010010192

글자크기

닫기

무안 이명남 기자

승인 : 2025. 11. 19. 16:31

정부 중재안에 공감대…12월 6자 협의체 본격 가동
무안군, 아직 넘어야 할 산 많아…군민 수용성이 중요
전남도
19일 서울 용산의 한 음식점에서 대통령실 주관 '대통령실-지자체 4자 사전협의'에 참석, 광주 민간·군공항 통합이전 추진에 대한 공감대를 이루며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 왼쪽부터 김영록 전남지사, 강기정 광주시장, 김산 무안군수,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 /전남도
전남도는 19일 서울에서 대통령실 김용범 정책실장이 주선해 김영록 전라남도지사, 강기정 광주광역시장, 김산 무안군수가 참석한 가운데 광주 민간·군공항 통합이전 추진을 위한 사전협의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는 지난 6월 대통령이 광주·전남 타운홀 미팅 중 약속한 '대통령실 주관 군공항 이전 6자협의체'의 사전협의로, 그동안 각 기관이 제기한 쟁점을 논의하고 주요 현안에 대한 상호입장을 공유했다.

통합이전 주요 쟁점에 대해 폭넓게 논의했으며, 각 지자체의 입장에 대해서도 허심탄회하게 의견을 나눴다.

사전협의 결과 대통령실과 3개 지자체는 정부에서 마련한 중재안에 대해 큰 틀에서 공감했으며, 12월 중 조속한 시일 내에 6자 협의체를 본격 가동하기로 했다.

특히 무안군의 발전을 위한 국가산단 등 첨단산업 기반 조성 등을 적극 추진하기로 공감했으며, 1조원 규모의 주민지원사업 재정확보 방안과 호남고속철도 2단계 개통에 맞춰 광주 민간공항을 이전하기 위한 논의도 의견 접근이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그동안 여러 난제가 얽혀 진전을 이루기 어려웠던 통합이전 논의가 이번 4자 사전협의를 통해 의미있는 성과를 거뒀으며, 이는 통합이전 추진에 있어 주민수용성과 긍정적 여론 확산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김영록 지사는 "이재명 대통령님의 결단과 대통령실의 중재로 광주 민간·군공항 통합이전 논의가 마침내 해결의 단초를 마련했다"며 "이번 기회를 계기로 반드시 전남 서남권과 무안군의 비약적인 발전을 이끌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전남도는 국가산단 등 미래 성장 기반을 확실히 마련하고, 정부·광주시·무안군과 끝까지 협력해 통합이전이 성공적으로 완수되도록 모든 역량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대통령실과 전남·광주·무안 3개 지방정부는 이번 협의 내용을 바탕으로 실질적 성과가 도출되도록 실무협의회에서 구체적 논의를 이어갈 계획이다.

김산 무안군수는 "그동안 요구했던 무안군의 3대 요구조건 가운데 광주 민간공항 선 이전과 광주시의 1조원 규모의 지원책 확보방안 등에 대해 의미있는 진전이 이뤄졌다"며 "다만 무안군 발전과 연계한 국가산단 조성과 첨단산업 구축 등 획기적인 인센티브안이 군민들을 설득할 수 있는 수준이 되는가에 대해서는 충분히 내부적으로 검토해봐야 한다"고 밝혔다.

무안군은 정부가 올해 안에 완전한 합의 목표로 추진하는 6자TF회의 참여를 통해 무안군의 3대 요구가 완전히 받아들여지고 무안군민들의 충분한 보상 그리고 미래 먹거리 대책이 마련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무안군 부군수를 단장으로 하는 광주 민·군공항 이전 대응 TF팀을 더욱 활발하게 가동하고 각 사회단체, 전문가, 언론, 주민 등이 참여하는 공청회 등을 개최해 군민의 의견을 수렴하고 반영하는 등 총력을 기울일 방침이다.
이명남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