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한국표준협회, 기후공시·국제표준 전환기… 기업 대응 전략은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121010011520

글자크기

닫기

남현수 기자

승인 : 2025. 11. 21. 17:16

한국표준협회, '2025 온실가스 검증 고객 세미나' 개최
ISO 14068-1·배출권거래제 개편 등 핵심 이슈 집중 논의
"정확한 배출량 산정·투명한 공시가 국제 경쟁력 좌우"
KakaoTalk_20251121_170150279_02
이동석 한국표준협회 산업표준원장(전무)이 인사말을 하고 있다./한국표준협회
한국표준협회가 기후공시 의무 확대와 국제표준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실무 전략을 제시하며 기업들의 대응 역량 강화 지원에 나섰다.

21일 협회는 서울 삼정호텔에서 온실가스 검증 고객사를 대상으로 '2025년 온실가스 검증 고객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는 '탄소중립의 시대, 한국표준협회로 답하다'라는 메세지 아래, 빠르게 변화하는 기후공시·국제표준 환경 속에서 기업이 실질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전략과 사례를 공유했다.

협회는 매년 온실가스 검증 고객사를 대상으로 배출량 산정·보고·검증(MRV) 전 과정에서 요구되는 최신 정책·기술 동향을 제공해 왔으며, 올해는 특히 기후공시 의무 강화, ISO 14068-1 국제표준 발간, 배출권거래제 개편, 국제 인정제도 변화 등 기업이 당면한 핵심 이슈를 심층적으로 다뤘다.

먼저 1부는 강화되는 기업의 기후정보 공개 요구에 맞춰 기후공시 체계 개편 방향과 국제표준 기반 ESG 보고 전략이 소개됐다. 특히 ISO 14068-1 요구사항을 반영한 탄소중립보고서 작성 가이드라인이 실무 적용 사례 중심으로 설명돼 참석 기업들의 관심이 높았다. 해당 가이드라인은 2026년부터 본격 강화될 글로벌 공시 규제에 대비하기 위한 핵심 자료로 평가된다.

2부는 온실가스 검증과 배출권거래제 등 기업 경영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제도 변화가 집중 논의됐다. 국립환경과학원은 온실가스 검증 분야 국제 인정 및 추진 현황을 설명했고, 협회는 배출권거래제 주요 이슈와 파리협정 6.4조(PACM) 방법론 동향을 바탕으로 기업의 대응 방향을 제시했다.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K-택소노미 적용 및 녹색금융 연계 방안을 소개하며, 환경·기후 공시가 재무 요소와 직결되는 흐름을 강조했다.

문동민 한국표준협회 회장은 "기후공시 제도와 국제표준이 빠르게 개정·정비되고 있는 전환기에서, 기업의 정합성 높은 배출량 산정과 투명한 공시가 중요하다"며, "협회는 국내 대표 검증기관으로서 현장의 검증 역량을 지속 강화하고, 기업이 국제 수준의 검증 요구에 안정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KakaoTalk_20251121_170150279
21일 열린 '2025년 온실가스 검증 고객 세미나' 모습./한국표준협회
남현수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