율촌·세종·화우, 장차관급 실무자 영입
산업·통상 자문 강화… 기업 수요 지원
새 정부 과제 대응 노동·보건 등 확대
검찰청 폐지 앞두고 형사·송무 재정비
법원·검찰·경찰 출신 라인 대거 보강
|
![]() |
◇통상·조세·금융, 관세 전쟁 대응해 장차관급 영입 확대
법무법인(유) 율촌은 문승욱 전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을 중심으로 통상 라인을 정비했다. 문 전 장관은 '통상산업전문팀' 고문으로 합류, 산업·통상 자문 체계를 강화한다. 최성호 전 감사원 사무총장도 고문으로 합류해 재정 정책 변화에 대한 기업 대응을 지원한다. 두 사람 모두 문재인 정부서 고위직을 지낸 인물로, 새 정부와 트럼프 2기 통상 기조에 대비한 전략적 영입으로 풀이된다.
법무법인(유) 세종은 임성빈 전 서울지방국세청장을 핵심 전력으로 영입했다. 임 전 청장은 국세청 조사4국 등에서 고액 조사와 상속·증여세 조사 업무를 총괄한 인물이다. 지철호 전 공정거래위원회(공정위) 부위원장과 대법원 조세총괄 재판연구관·삼성 미래전략실 법무팀장을 지낸 성열우 변호사도 영입하며 조세·공정거래 라인을 두텁게 구축했다.
법무법인(유) 화우는 박진규 전 산업통상자원부 차관과 김동회 전 금융감독원 부원장을 중심으로 통상·금융 규제 대응 라인을 정비했다. 30년 넘게 산업부에 몸담은 박 전 차관은 국제통상 정책을 총괄한 인물이다. 김 전 부원장은 1989년 금융감독원(당시 증권감독원)에 입사해 금융투자 전반의 감독 체계를 이끌었다.
◇노동·보건·국방 새 정부 규제 겨냥 '전선 확대'
새 정부가 노란봉투법, 정년 연장, 보건·의료 규제 개편 등 주요 과제를 동시에 다루면서 로펌의 관련 자문 수요도 빠르게 늘고 있다.
율촌은 윤오준 전 국정원 3차장과 최용선 전 민주연구원 부원장을 영입해 정책·정보 대응력을 넓혔다. 윤 전 차장은 기술 유출 대응과 사이버 안보 자문을 맡는다. 최 전 부원장은 문재인 정부 시절 청와대 방위산업담당·국정상황실 선임행정관 등을 지낸 경력을 토대로 정부·여당 정책 흐름을 파악하는 역할을 수행할 전망이다.
세종은 권덕철 전 보건복지부 장관과 김민석 전 고용노동부 차관을 영입해 보건·노동 라인을 강화했다. 권 전 장관은 의료 체계 개편 자문을, 김 전 차관은 정년 연장·근로시간·임금체계 개편 대응에서 역할 할 예정이다.
화우는 임서정 전 고용노동부 차관과 배상윤 전 금속노조 현대차지부 수석부위원장을 영입했다. 두 사람은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 체제에서 추진될 노동정책 변화에 따른 기업 리스크 분석을 맡을 것으로 보인다.
◇검찰개혁 앞두고 형사·송무 역량도 보강
검찰청 폐지와 수사·기소 분리로 형사사건이 복잡해질 것으로 예상되면서 로펌들은 검찰·법원·경찰 출신 영입을 확대하고 있다.
율촌은 조남관 전 대검 차장과 공준혁 전 서울남부지검 부장검사를 중심으로 형사 라인을 강화했다. 조 전 차장은 중대범죄 수사 전략 자문을, '라임 수사'를 지휘했던 공 전 부장검사는 금융·증권 범죄 대응을 맡는다.
세종은 장영수 전 대구고검 검사장과 최창영 전 대전고법 부장판사를 중심으로 형사·송무 조직을 재편했다. 장 전 검사장은 특수·반부패 수사를, 최 전 부장판사는 기업 송무·항소심을 담당한다. 조주연 전 중앙지검 반부패부장과 이춘삼 변호사(전 경찰청 정보국·사이버수사팀장)까지 합류해 디지털 범죄 대응도 강화했다.
화우는 이오영 전 서울중앙지법 부장판사와 박정대 전 서울행정법원 부장판사를 중심으로 송무 조직을 확충했다. 이 전 부장판사는 건설·부동산, 박 전 부장판사는 행정 소송에 전문성이 있다. 여기에 이규문 전 대전지방경찰청장, 정찬용 전 서울중앙지검 수사정보과 수사관, 고광문 전 서울청 광역수사단 국제1계 경감까지 합류하며 형사 대응 라인도 강화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