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위 소속 여야의원들은 22일 역사교과서의 ‘민주주의’란 용어를 ‘자유민주주의’로 변경한 정부 조치에 대해 정면충돌했고, 이 때문에 23일 오전 현재 서울시 교육청에 대한 국감까지 파행을 거듭하고 있다.
이날 교과위의 교육청 국감은 오전 10시로 잡혀 있었지만 야당의원들이 늦게 도착해 제 시간이 열리지 못했다. 그나마 도착한 야당의원들은 계속 자리에 앉지 않으면서 여당에 간사간 의사진행절차에 대한 합의를 요구했고, 이에 여당이 반대하면서 회의는 결국 11시 30분이 넘어서야 진행될 수 있었다.
한나라당 간사 서상기 의원은 변재일 위원장에게 개회요구서를 제출하고 야당 의원이 출석하지 않더라도 회의를 시작할 것으로 요구했고, 이에 민주당 의원들이 속속 입장하면서 회의는 개회될 수 있었다.
회의는 열렸지만 전날 한나라당 박영아 의원의 “자유민주주의를 부정하는 사람들은 사퇴해야 한다. 북한가서 의원하라”라는 발언에 대해 민주당 의원들이 강하게 사과를 요구해 곧 바로 교육청에 대한 국감은 이뤄지지 못했다.
박 의원은 전날 국감에서 민주당 의원들이 역사교과서에 ‘민주주의’를 ‘자유민주주의’로 바꿔 표기한 것에 대해 절차상의 문제가 있음을 제기하지 이 같이 말했고, 결국 국감은 파행됐다.
당초 여야 의원들은 박 의원의 사과문을 듣고 교육청에 대한 국감을 시작하려 하였으나 박 의원의 의사 진행 과정에서 민주당 의원들이 강하게 반발하면서 결국 여야간 공방으로 이어졌다.
박 의원은 발언을 통해 “‘자유민주주의를 부정하는 국회의원은 즉각 사퇴하고, 북한가서 국회의원을 해야 한다’고 발언한 것은 야당의원들을 향해 발언한 것이 아니다”며 “오해가 있었다”고 말했다.
이어 박 의원은 “어제 민주당 김영진 의원이 내 말을 잘못 오해하고 오히려 공격을 하고 있다”며 김영진 의원의 사과를 요구했다.
이에 민주당 의원들은 “그게 무슨 사과인가?”, “지금 훈계하려는 것이냐?”, “사과를 하려면 똑바로 해라” 등 박 의원의 사과에 대해 강한 불만을 표출했다.
권영진 한나라당 의원도 “박 의원의 어제 발언은 내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하지 말았으면 좋았겠다’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 시간 현재 여야 의원들은 박 의원의 재사과를 듣고 오후에 교육청 국감을 시작한다는 의견을 조율한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