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2021 탄소중립 컨퍼런스] “글로벌 기후 위기, 선진국 무관심이 가장 큰 원인”

[2021 탄소중립 컨퍼런스] “글로벌 기후 위기, 선진국 무관심이 가장 큰 원인”

기사승인 2021. 11. 25. 18:51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존 번 교수 "개발도상국의 재난은 선진국의 탄소배출 탓"
"학계·정계·산업계 탄소감축 위한 협력 필요"
whsqjs
존 번 미국 델라웨어대 석좌교수가 25 ‘2021 산업계 탄소중립 컨퍼런스’에서 온라인으로 참여해 기조연설하고 있다. /제공=한국에너지공단 유튜브 영상 갈무리
탄소중립에 대한 전 세계적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각 국이 기후위기에 소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무엇보다 선진국들이 탄소배출 등의 이슈를 등한시한 것이 현재와 같은 환경오염으로 인한 범 인류적 위기를 초래했다는 비판도 제기됐다.

존 번 미국 델라웨어대 석좌교수는 25일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에너지공단이 주관하는 ‘2021 산업계 탄소중립 컨퍼런스’의 비대면 온라인 기조연설(기후위기 시대의 탈탄소화)을 통해 이 같이 지적했다. 기후 위기 분야에서 글로벌 석학으로 불리는 그는 “그동안 미국과 유럽 등 선진국들은 경제 성장을 이루며 대규모적으로 탄소배출을 해왔지만, 이로 인한 비용을 오히려 저소득 국가에 전가해와 위기 비용을 더 키웠다”고 비판했다.

2013년 필리핀에서 발생한 ‘하이안 태풍’을 비롯해 이후 저소득 국가에서 일어난 홍수·쓰나미 등은 선진국이 배출한 탄소와 관련이 있다는 것이 그의 주장이다. 존 번 교수는 “탄소 배출로 인해 기후 변화가 급격히 발생했고, 이로 인해 각종 재난이 저소득 국가에서 발생해 많은 사람들이 생사를 넘나들고 있다”며 “기후변화는 저소득 국가뿐 아니라 부유한 국가에도 닥친 공통적인 문제”라고 지적했다. 기후위기로 인한 비용 증가를 우려한 것이다. 실제로 미국은 지난 15년 간 자연재해로 1조3000억 달러(약 1547억원)의 비용을 지불했다.

학계에서는 기후환경이 예상보다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점을 우려하고 있으며, 그 해결 방법은 ‘탈탄소’라는 점을 강조해 오고 있다. 그는 “경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인류는 많은 성과를 달성해왔다”며 “과거 살충제(DDT)와 같은 화학 물질을 줄이기 위해 전세계가 노력했던 것처럼 이제는 산업계·정부·학계가 협력해 탄소를 감축하는 방법밖에 없다”고 말했다. 탈탄소를 위해서는 정부 뿐만 아니라 기업, 학계가 각자의 역할을 하고 상호협력하는 것이 필수라는 설명이다.

존 번 교수는 “이러한 협력을 기반으로 학계는 지속적인 연구를 하고, 기업은 근본적으로 조직 변화를 해야 한다”며 “여기에 정부는 재정 및 연구개발(R&D)을 지원을 통해 탄소감축을 실현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가장 중요한 것은 각 사회에서 모두가 팔을 걷고 탄소감축을 줄일 수 있도록 협력하는 태도”라고 덧붙였다.

한편 존 번 석좌교수는 미국 신재생에너지&환경재단(FREE) 위원장의 대표를 맡고 있으며. 2007년 유엔 정부간기후변화위원회(IPCC) 구성원으로서 노벨평화상을 공동 수상한 바 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