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세월호 후속협상 난항…야당내 재협상론 급부상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140810010004461

글자크기

닫기

윤희훈 기자

승인 : 2014. 08. 10. 17:11

11일 새정치연합 의총이 분수령…박영선 반발 진화 안간힘
[포토]
10일 서울 여의도 새정치민주연합 당사에서 세월호 가족대책위 등 유가족들이 새정치민주연합의 세월호 특별법 합의 철회를 촉구하는 농성을 하고 있다./이병화 기자
새누리당과 새정치민주연합은 휴일인 10일 양당 원내대표의 ‘세월호국회 정상화’ 합의에 따라 세월호특별법과 세월호 국조특위의 청문회 증인문제에 대한 협상을 재개했지만 이견차를 좁히지 못했다. 새정치연합 내부에서 세월호특별법 재협상론이 급부상하고 있어 협상이 원점으로 돌아갈 가능성마저 점쳐지고 있다.

우윤근 정책위의장은 이날 오후 주호영 새누리당 정책위의장과 비공개 회동을 갖고 특검 추천권과 관련한 보완책 등을 논의했다.

특히 세월호특별법 합의에 대해 거센 반발을 받고 있는 새정치연합측은 이날 회동에서 특검추천권과 진상조사위 활동에 대해 논의했으나 이견차를 좁히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진상조사위 활동기간과 관련, 새누리당은 기본 1년(12개월)에 필요시 6개월을 연장하는 ‘12+6 방안’을, 새정치연합은 기본 1년에 필요시 1년을 추가하는 ‘12+12 방안’을 주장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11일 의총을 앞두고 있는 새정치연합은 특검 추천권을 다시 요구하면서도 한편으로는 당내 반발을 누그러뜨리기 위해 나머지 쟁점에서 최대한 새누리당의 양보를 얻어내겠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새누리당은 지난 6월 발효된 상설특검법 절차를 무시하고 진상조사위나 야당에 특검 추천권을 부여하는 것은 사법체계의 근간을 흔드는 것으로 절대 수용할 수 없다며 완강히 버티고 있다.

새정치연합 내에서 세월호특별법 합의에 대해 반발 기류가 형성되면서 11일 의총에서 재협상론이 부각될 것으로 보인다.

세월호 국조특위의 청문회 증인 협상도 쉽지 않아 보인다.

세월호 국조특위 여야간사인 조원진 새누리당, 김현미 새정치연합 의원은 10일 접촉을 갖고 증인문제에 대한 막바지 절충에 나섰으나 양측의 입장 조율은 난항을 거듭하고 있다.

새정치연합은 김기춘 청와대 비서실장과 정호성 청와대 제1부속실 비서관, 유정복(전 안전행정부 장관) 인천시장의 증인채택을 강력히 요구하고 있지만 새누리당의 ‘불가 입장’은 확고하다.

특히 새정치연합은 “세월호특별법과 세월호 청문회 증인협상은 패키지”라며 청문회 증인채택에서 야당의 입장이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세월호정국 정상화에 대한 여야 합의 자체를 재고할 수 있다는 입장까지 내비치고 있다.

이에따라 여야는 세월호 국조특위 청문회를 오는 18∼21일 실시키로 합의했지만 증인협상이 타결되지 못할 경우 또다시 표류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윤희훈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