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협약은 학·군이 연계한 융·복합기술로 방호 및 안전분야 전문가 육성하기 위해 체결됐다.
서울과기대는 이번 협약을 계기로 방호 및 안전분야 전문가 육성에 필요한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융·복합기술을 국방에 적용하기 위한 기술적 지원과 공동연구개발의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양 기관의 주요 협력 분야는 △ LiDAR, 3D 프린팅, 드론, 로봇 등 육군 전력발전 소요창출을 위한 상호 협력 △ 미래 전장환경에 부합되는 방호성능·기준향상과 첨단화된 군사시설(Smart Mil-City) 발전을 위한 공동 노력 △ 육군 안전을 선도 안전관련 교육·과학기술 분야 등이다.
김종호 서울과기대 총장은 “앞으로 양 기관 간 체결된 교류협약을 통해 보다 실질적이고 가시적인 성과를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융·복합 과학기술을 적용하는 테스트 베드의 역량을 육군에 제공하겠다”라고 밝혔다.
김용우 육군참모총장은 “이번 협약을 통해 서울과기대가 발전시킨 라이더 기술을 포함, 다양한 실용기술을 지상군의 작전환경에 신속하게 적용해 나갈 것”이라며 “서울과기대의 과학기술분야 교육능력을 활용해 해당 분야의 전문가와 인재를 양성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 믿는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