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자살 예방에 25억 추가편성…정부, 지자체와 대책 강구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709010005642

글자크기

닫기

서병주 기자

승인 : 2025. 07. 09. 18:10

자살률 인구 십만명 당 28.3명…OECD 1위
자살 급증지역 현장 컨설팅 확대 계획
화면 캡처 2025-07-09 180826
2023~2024년 국내 자살 사망자 수 및 자살률 추이./보건복지부
우리나라가 20년 넘게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자살률 1위를 유지하고 있는 가운데, 강정부가 지자체와 자살 예방 협력에 돌입한다.

9일 보건복지부는 이형훈 제2차관 주재로 시·도 부단체장과 자살률 현황 및 대책에 대해 공유하고, 자살예방을 위해 협력해 줄 것을 당부했다.

지난해 국내 자살사망자는 1만4439명(잠정), 자살률은 인구 십만명 당 28.3명으로 2003년 부터 OECD 국가 중 1위 수준이 지속되고 있다.

복지부는 자살은 복합적 위기가 중첩될 때 발생 위험이 커지므로, 위기 요소에 대한 선제적 예방과 위기에 처한 이들을 신속히 찾아 지원하는 것이 필수라고 판단했다. 이에 따라 지역사회에서 고위험군 발굴 및 신속한 위기 개입을 위한 지자체 역할과 이를 뒷받침하는 중앙정부의 강력한 지원을 강조했다.

복지부는 2025년 제2차 추가경정 예산에 자살예방 사업 지원을 위한 시급한 예산 약 25억5000만원을 추가 편성했다.

편성된 주요 예산은 응급실 내원 자살지도자 치료비 지원 확대 5억1000만원, 지역 맞춤형 자살예방 사업 지원 4억원, 자살유발정보 모니터링 인력 확충 및 인식개선 캠페인 확대 12억1000만원, 고립·은둔 청년에 대한 1:1 온라인 상담 서비스 신규 도입 4억3000만원 등이다.

그중 지역맞춤형 자살예방사업 예산은 주민 스스로 주변의 자살 위험에 처한 이들을 발굴해 신속히 자살예방센터에 연계할 수 있도록 하는 '생명지킴이 활동'을 더 활성화하는데 쓰일 예정이다.

복지부는 향후 지역별 자살 현황을 분기별로 모니터링하고 및 점검 회의 등을 통해 관리를 더 강화해 나갈 방침이다. 아울러 현재 시행 중인 자살 급증지역에 대한 '현장 컨설팅'도 확대, 지역이 더 효과적인 자살예방 대책을 수립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이 차관은 "중앙정부와 지자체의 모든 공직자들이 가장 어려운 국민들 개개인이 처한 위기를 극복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다짐으로 서로 협력해야만, 더 많은 생명을 살리고 따뜻하고 안전한 사회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며 "자살 예방을 위한 재정적, 제도적 지원을 강화하고, 필요한 정책 개선에 대해서도 경청해 최대한 반영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병주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