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균형발전·미래 해양물류 주도
|
경남도는 해수부 이전과 북극항로 시대 도래 등 변화하는 환경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부산항 신항과 진해신항을 국가 해양 경제 중심지이자 동북아 물류 허브로 육성한다고 6일 밝혔다.
이를 위해 '신항만건설지원과'를 신설, 복잡한 행정 절차를 조율하고 다양한 이해관계자와 협력함으로써 실행력을 강화하며 구체적인 정책과 사업 발굴 등을 총괄·조정한다.
중점과제로 △글로벌 항만 전진기지로 신항만 조성 △북극항로 시대를 선도할 거점항만 구축 △정주·첨단이 공존하는 항만배후도시 조성을 추진한다. 이는 경남의 해양물류 생태계 전반을 혁신하고 미래 경쟁력을 확보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진해신항은 총 14조 6000억원이 투입되며 2040년까지 21선석 규모로 조성된다. 항만 전 구간에 자동화·지능화·초고속 통신망(5G) 등 최첨단 스마트 항만 기술이 적용돼 세계 최고 수준의 디지털 항만이 될 전망이다.
진해신항의 안정적인 물류 처리를 위해 총 6조 원 규모의 도로·철도 등 교통망 인프라도 구축한다. 부산항 신항과의 연계, 내륙 연결망, 가덕도신공항 접근 교통축 형성이 주요 사업으로, 진해신항 1단계 개장 전 적기에 완비할 수 있도록 제4차 항만기본계획 반영 등 행정 절차를 추진한다.
해양수산부 이전을 계기로 항만 관련 공공기관 유치에도 총력을 기울인다. 비즈니스센터를 건립해 세관·출입국·검역 등 유관기관을 집적시켜 원스톱 행정서비스 기반을 마련한다. 스마트 공동물류센터, 세관 통합검사장, 후생복지시설, 연도 해양문화공간도 순차적으로 들어선다.
도는 글로벌 해양물류 변화의 핵심인 북극항로 개척에도 발 빠르게 대응하고 있다. 하반기 북극항로 대응 정책 연구를 시작, 내년에는 마스터플랜 수립에 착수해 해수부의 '북극항로 거점항만 조성 전략'에 대응해 나간다. 중장기적으로는 북극 해빙 예측과 항로 전망 컨트롤타워, 극지 운항 전문인력 교육기관 유치 등 클러스터 구축도 추진한다.
진해신항 배후단지는 단순한 물류기지를 넘어 정주 기능을 갖춘 자족형 배후도시로 건설한다. 정부 협업 거버넌스를 구성해 산업·인프라·주거가 조화를 이루는 종합 청사진을 마련하고 체계적으로 개발해 나간다.
진해신항 개발은 지역 경제 활성화와 양질의 일자리 창출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진해신항이 완공(21선석)되면 28조 4758억원의 생산 유발, 22조 1788억원의 부가가치 유발, 총 17만 8222명의 취업 유발 효과가 창출될 것으로 예상된다.
박성준 도 교통건설국장은 "진해신항은 경남의 미래이자 대한민국 해양물류의 분기점"이라며 "신항과 더불어 세계적 수준의 스마트 메가포트를 조성하고, 북극항로 시대를 주도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