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정부 외교·법무장관 줄소환 예고
|
정민영 특검보는 8일 오전 브리핑에서 "이 전 비서관 재임 당시 인사비서관실과 외교부 사이 이 전 장관의 호주대사 임명과 관련한 논의가 진행된 정황을 확인해 압수수색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압수수색 대상은 이 전 비서관의 차량과 휴대전화이며 자택은 제외됐다.
순직해병 특검팀은 순직해병 사건으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수사를 받고 있던 이 전 장관을 대통령실이 지난해 3월 주(駐)호주 대사로 임명·출국시켜 수사를 방해하려 한 의혹을 수사 중이다.
정 특검보는 "이번 주 월요일부터 목요일까지 이 전 장관의 호주대사 임명·출국·귀국·사임 과정에서의 불법 행위와 관련해 압수수색을 진행했다"며 "임명과 관련된 자료가 보관됐을 것으로 보이는 대통령기록관,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외교부·법무부 사무실과 해당 업무에 관여한 대통령실·외교부·법무부 관계자들이 압수수색 대상이 됐다"고 밝혔다.
순직해병 특검팀은 이번 압수수색을 통해 법무부와 외교부가 주고받은 공문과 이메일 수발신 내역을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피의자 신분인 박성재 전 법무부 장관, 조태열 전 외교부 장관, 이노공 전 법무부 차관, 심우정 전 검찰총장의 휴대전화도 확보했다.
정 특검보는 "압수수색 대상 피의자는 압수물 분석 이후 조사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순직해병 특검팀은 최근 확보한 김건희 여사 비화폰에서 2023년 통화 내역이 삭제돼 있었다고 밝혔다. 지난해 통화 내역 일부는 남아 있었지만 순직해병 사건과 수사 외압 논란이 불거진 2023년 무렵의 기록은 전혀 없다는 것이다. 다만 고의 삭제 여부에 대해서는 파악 중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순직해병 특검팀은 이날 오전부터 조태용 전 국가안보실장과 임기훈 전 국가안보실 비서관을 다시 불러 조사하고 있다. 정 특검보는 "순직해병 사건 초동 조사 기록이 회수되는 과정과 논란이 불거지는 과정에서 국방부와 대통령실이 여러 입장을 냈다"며 "이 과정에 조 전 실장과 임 전 비서관이 관여했는지를 확인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