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해녀 공통 복지제도 정부가 마련해 지원을"
|
제주특별자치도와 제주도의회는 공동으로 2일 국회도서관 소회의실에서 '㈔전국해녀협회 활성화 방안 마련을 위한 국회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지난해 12월 출범한 ㈔전국해녀협회의 안정적인 정착을 지원하고, 해녀문화 보전을 위한 국가 차원의 제도적 지원을 모색하기 위해 기획됐다.
제주도 지역구 위성곤(서귀포시)·김한규(제주시을)·문대림(제주시갑) 의원과 해양수산부, 7개 광역자치단체 관계자, ㈔전국해녀협회 회원 등 80여 명이 자리를 함께했다.
제주도의회 박호형 의원이 좌장을 맡아 진행된 토론회에서는 전국해녀협회 7개 연안시도 이사들과 해수부, 각 지자체 담당자들이 해녀문화 보전과 협회 활성화 방안을 집중 논의했다.
주제발표에서 고미 전 제주해녀세계중요농업유산 등재추진위원은 '사라지는 삶, 사라져선 안 될 유산'이라는 주제로 해녀 공동체의 현실을 진단했다. 류정곤 한국수산회 수산정책연구소장은 '㈔전국해녀협회 활성화 방안'으로 정책적 제언을 했다.
김계숙 전국해녀협회 회장을 비롯한 각 지역 이사들은 해녀문화 보존과 전승을 위해 협회에 대한 정부의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전국 해녀들을 위한 공통 복지 제도 마련을 정부에 한목소리로 요청했다.
토론에 참가한 양홍식 제주도의원은 "한국의 해녀는 전국 지자체에서 다양한 지원정책을 수립하여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고령화와 신규 해녀 감소로 소멸위기에 처해 있다. 그래서 전국의 지자체가 유기적으로 협조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지적했다. 이날 참석자들은 정부 차원의 전국해녀협회 활성화 방안 마련해 줄 것을 한 목소리로 요구했다.
오상필 제주도 해양수산국장은 "이번 국회토론회를 통해 해녀문화의 국가적 위상을 높이고 전국해녀협회가 안정적으로 자리잡을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게 됐다"며 "제주도가 앞장서서 전국 해녀 공동체를 대변해 정부와 국회의 정책적 지원을 이끌어내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