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주한미군 운영 변화 때 '전략적 모호성' 유지, 북한 오판·중국 긴장 고조 회피해야"
"신무기체계·전술에 한국 국방비 증액"
|
정 전 장관은 이날 미국 워싱턴 D.C.의 한미경제연구소(KEI)가 주최한 '한·미 안보 협력 현황' 토론회 기조연설에서 한국이 주한미군 방위비 분담금을 매년 11억~12억달러 수준으로 지불하고 있지만, 미국 측에서 불만을 제기하고 있는 이유 중 하나가 그 분담금이 미군 기지 내 한국인 근로자 인건비, 기지 내 시설 보안, 훈련 등에 참가하는 군수 지원 비용에 편성됐기 때문이라며 방위비분담금특별협정(SMA) 개정을 통해 이같이 할당해야 한다고 밝혔다.
정 전 장관은 또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한미동맹 현대화를 추진하면서 주한미군의 역할을 조정하려고 할 때 북한이 오판하지 않도록 '전략적 모호성'을 유지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그는 "주한미군 감축 문제나 주한미군을 중국 견제 쪽으로 조정하는 것 등 미군 전력 운영에 관해 지금도 한국이 관여할 수 없다"면서 "미국이 자체적인 계획에 따라 운영하되 굳이 대외적으로 통보할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
이어 북한이 오판하거나, 중국의 반발로 군사적인 긴장이 고조되지 않도록 미국이 '전략적 모호성'을 유지하는 것이 최선이라고 강조했다.
|
그러면서 군사력 증강에 동맹인 미국이 기술 지원 등을 전폭적으로 하면 아주 좋은 결과가 나올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정 전 장관은 전시작전권 전환 문제가 노무현 정부 때인 2006년부터 논의돼 온 사안으로 한·미 국방 당국 간 기존 합의 절차에 따라 이행하면 문제가 될 게 없다며 전작권 전환에 따른 주한미군 철수·유엔사 해체 등 가짜뉴스에 기반한 정치적인 입김을 경계해야 한다고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