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의 탄소감축인증센터서 거래
|
지역 농가들이 자발적으로 탄소를 감축하면, 이를 크레딧 형태로 기업들과 사고 팔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시장이 열릴 것으로 보인다.
대한상공회의소·농림축산식품부·NH농협금융지주은 26일 오후 상의회관에서 '농업 분야 자발적 탄소시장 활성화'를 위한 3자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날 협약은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각 기관이 탄소중립을 위한 농업 분야 저탄소 농업기술 보급과 국내 자발적 탄소시장 활성화에 협력하자는 취지에서 이뤄졌다.
조영준 대한상공회의소 지속가능경영원장, 김정욱 농식품부 농식품혁신정책관(농업혁신정책실장 직무대리), 박종국 NH농협금융지주 부장 등이 참석했다.
자발적 탄소시장이란 기업, 지자체, 개인 등 다양한 주체가 자발적 탄소 감축사업을 추진해 발생한 실적(Credit)을 거래하는 시장으로, 정부가 의무적으로 배출권을 할당하고 거래하는 '탄소배출권거래제(ETS)'와는 구분된다.
이번 협약은 농식품부가 인증한 농업 탄소감축 실적을 대한상의 탄소감축인증센터의 적합성 검토 이후 크레딧으로 전환해, 이를 기업이 탄소중립에 활용할 수 있도록 접근성을 높였다는 의미가 있다.
협약에 따라 농식품부는 농업 분야 자발적 온실가스 감축사업을 제도적으로 지원하고 참여 농가의 감축 실적을 인증하며, 대한상공회의소는 인증된 실적에 대한 적합성 검토를 통해 탄소감축인증시스템에 등록하여 크레딧으로 발행·거래를 지원한다. NH농협금융은 협약 초기 농민들의 저탄소 농업기술 확산을 지원하는 ESG 경영 차원에서 크레딧을 구매할 계획이다.
농식품부는 향후 농업 분야 크레딧 전환 절차를 내부 지침에 반영하고, 연말까지 시범사업을 통해 미흡한 점을 개선한 후 내년부터 크레딧 전환 거래를 본격 추진할 계획이다.
조영준 대한상의 지속가능경영원장은 "대한상의는 탄소감축인증센터를 통해 기업의 탄소중립 이행과 혁신노력을 지원하고 있다"며 "농업 분야에도 글로벌에서 인정받는 우수한 방법론과 성과가 나오는 만큼, 이번 계기를 통해 보다 다양한 분야에서 자발적 탄소시장이 활성화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대한상의 탄소감축인증센터는 기업의 탄소중립 이행을 지원하기 위해 2023년 1월 설립됐다. 현재까지 총 30개의 온실가스 감축 방법론을 통해 약 270만톤의 크레딧(KCRs)을 발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