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전 대통령, 임의출석 의사 표명
조태용 전 원장 피의자 신분 소환
|
윤 전 대통령은 이날 오전 8시께 내란 특검팀이 구치소를 찾아 강제구인에 착수하자 조사에 응하겠다는 의사를 밝힌 것으로 파악됐다.
박지영 특검보는 이날 브리핑에서 "특검은 지난달 30일 외환 혐의와 관련해 윤 전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을 청구해 지난 1일 발부받았다"며 "이후 형사소송법에 따라 지난 2일 서울구치소에 영장 집행을 지휘했다"고 밝혔다.
이어 "서울구치소는 재판 일정 등을 고려해 금일 오전 8시께 체포영장을 집행할 예정이었다"며 "집행 전 교도관이 영장 발부 사실과 집행 계획을 알리자 윤 전 대통령이 임의출석 의사를 표명해 영장 집행은 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내란 특검팀은 지난달 24일과 30일 두 차례에 걸쳐 윤 전 대통령에게 '평양 무인기 침투 의혹' 등 외환 혐의 관련 조사를 통보했으나, 윤 전 대통령이 응하지 않아 조사가 무산된 바 있다.
윤 전 대통령 측은 "지난 민중기 김건희 특검팀의 무리한 체포영장 집행 이후, 구치소 직원들의 고충이 컸었다고 변호인들에 자주 언급해 왔다"며 "구치소 공무원들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결정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내란 특검팀은 이날 조태용 전 국정원장도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조사 중이다.
조 전 원장은 내란 특검팀에 출석하며 '대통령실에서 계엄 사실을 인지하고도 국회에 즉각 보고하지 않은 이유가 무엇인지' '홍장원 전 국정원 1차장의 모습이 담긴 폐쇄회로(CC)TV 영상을 국민의힘 요청 전에 미리 선별해 제공했다는 의혹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등의 묻는 취재진 질문에 "성실하게 조사를 잘 받겠다"고만 답했다.
내란 특검팀은 조 전 원장이 비상계엄 선포 계획을 인지하고도 국회에 보고하지 않았는지, 헌법재판소와 국회에서 윤 전 대통령의 '비상조치' 발언과 관련해 위증을 했는지 여부를 중점적으로 조사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