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조직개편 이어 인력배치… ‘AI 컨트롤타워’ 면모갖춘 과기부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022010007695

글자크기

닫기

서병주 기자

승인 : 2025. 10. 21. 17:45

공석이던 실장급 자리 모두 채워
범부처 단위 회의체로 리더십 강화
대변인 실장급 격상, 대외소통 올려
국장급 인력 등 조직공석 해결 약속
국립중앙과학관 80주년 기념식
배경훈 부총리 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왼쪽 세 번째)이 지난 16일 대전 유성구 국립중앙과학관에서 열린 '국립중앙과학관 80주년 기념식'에서 4족 보행 로봇 및 휴머노이드 로봇을 관람하고 있다. /연합
부총리급 부처로 격상된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전열을 가다듬으며 국가 인공지능(AI) 정책 컨트롤타워의 면모를 공고히 한다. 그 일환으로 AI 전담부서 개편에 이어, 그에 부응하는 인력을 배치해 과학기술 정책을 총괄하는 주무 부처로서의 역량을 갖추는 한편, 범부처 단위의 회의체를 통해 리더십을 강화하겠다는 방침이다.

21일 과학기술계에 따르면 과기부는 이달 초부터 중순 사이에만 AI정책실장을 비롯한 실장급 인사 7건을 잇달아 단행했다.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차관 인사 및 부처 내 조직개편 등 내외부적인 변화로 인해 일부 실장급 자리가 공석이 되면서 조직의 전열을 정비하는 기회를 가진 셈이다.

지난달 말 신설된 AI정책실장에는 김경만 AI정책기획관이 발탁됐다. 기존 국(局) 단위에서 확대 및 강화된 AI정책실은 국가 AI 생태계를 조성하고 범정부 차원의 AI 혁신을 주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정책실 산하에는 △AI정책기획관 △AI인프라정책관을 배치했다. 정책기획관은 국가 정책 및 법·제도 설계와 인재 양성을, 인프라정책관은 AI 컴퓨팅 자원·데이터·클라우드 등 주요 인프라 확충에 주력한다.

첫 AI정책실장직을 맡은 김 실장은 과거 AI기반정책과장 및 정책관 등을 역임하는 등 관련 정책에 대한 높은 이해도과 경력을 갖춘 인사로 평가받는다. 특히 2019년 AI기반정책국이 신설된 후 강도현 전 과기부 2차관(당시 정책관)과 함께 국가 AI 정책 수립을 주도한 바 있다.

지난 7월 구혁채 1차관 임명에 세 달 가까이 공석이었던 기획조정실장에는 강상욱 과학기술정책국장이 직을 이어받았다. 1차관 산하에서 부처의 전략기획과 업무 조정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기획조정실장인 만큼, 과기부에서 미래인재정책국과 운영지원과 등 인사와 운영 업무를 두루 수행했던 강 국장이 선임된 것이다.

커진 몸집에 맞춰 대외적인 소통 능력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도 이뤄졌다. 과기부가 부총리급 부처가 되면서 대변인 직위도 실장급으로 격상, 변화하는 미디어 환경에 맞춰 과학기술과 AI 분야와 관련된 내용을 보다 이해하기 쉽게 전달하겠다는 계획이다. 격상된 자리에는 과거 대통령비서실 과학기술보좌관실 선임행정관과 과기부 대변인직을 수행했던 정택렬 공공융합연구정책관을 임명했다.

과기부 관계자는 "최근 인사를 잇달아 단행하면서 공석이었던 실장급 자리를 모두 채우게 됐다"며 "현재 국장급 인력 몇 곳이 공석인데, 해당 인사도 빠르게 실시해 조직 공백 없이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과기부는 부총리 직속으로 '과학기술·AI정책협력관'을 신설하는 동시에, 관계 장관회의를 설치하면서 범부처 리더십을 강화하기 위한 조치도 단행했다.

과기부 관계자는 "해당 회의체에서는 부총리 총괄·조정하에 국가적 노력 경주가 필요한 어젠다를 기획하고 공유할 것"이라며 "전부처의 노력을 원팀으로 묶는 실질적인 협력 플랫폼으로 운영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서병주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