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명 중 8명 만족, 과거 5년과 비교 대폭 개선
'안전·신뢰' 평가 66% 넘어"…세계 최고수준
|
서울시는 이런 내용의 '2025년 서울시민 먹는 물 소비패턴 조사' 결과를 10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시민들의 수돗물 이용 행태를 정기적으로 파악하고 정책 개선에 반영하기 위해 시가 여론조사기관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8월 13~19일 만 18세 이상 시민 10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방식으로 진행됐다.
조사 결과, 수돗물을 '먹는 물'로 이용한다는 응답 비율은 75%로 지난해(69.6%)보다 5.4%포인트 상승했다. 집에서 수돗물을 정수한 뒤 마시거나 그대로 마시는 전체 음용률은 56.3%로 전년(49.6%)보다 6.7%포인트 올랐으며, 차나 커피(63.7%), 밥과 음식 조리(63.9%) 등으로 간접 음용한다는 응답도 높게 나타났다.
지난 1년간 집 밖에서 수돗물을 마신 경험이 있는 서울시민은 53.1%로 2명 중 1명은 외부에서 아리수를 마셔본 적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용 장소는 공원·운동장·운동시설이 27.5%로 가장 많았다. 이어 △길거리·둘레길·산책로(20.3%) △캠핑장(9.4%) △놀이공원·유원지(8.2%) △도서관·박물관(8.0%) △학교(7.5%) 등 순으로 나타나, 아리수가 생활공간 전반으로 확산되고 있음을 보여줬다.
서울의 수돗물 음용률은 선진국 도시와 비교해도 경쟁력 있는 수준이었다. 다른 국가의 조사 방식을 적용해 비교한 결과 미국식 기준으로는 서울 80.8%, 미국 65%였다. 프랑스 파리 기준으로는 서울 81.2%, 파리 83%로 비슷한 수준이었다.
더욱 중요한 것은 만족도 지표다. 서울시민 10명 중 8명(79.9%)이 과거(5년전)와 달리 수돗물에 전반적으로 만족한다고 응답했다. 수질 만족도는 82.2%로 전년(78.2%)보다 4%p 상승했으며, 음용·조리 목적 만족도는 91.6%, 생활용수 만족도는 94.2%에 달했다. 모든 항목에서 만족도가 상승한 것은 시민들이 "안전하다"(66.8%), "믿을 수 있다"(66.4%), "깨끗해졌다"(61.3%)는 체감을 공유하고 있다는 뜻이다. 시는 수질 개선과 안정적 공급에 대한 시민 신뢰가 한층 강화된 결과라고 분석했다.
또 시민 10명 중 7명 이상은 아리수를 '세계 치고 수준의 수돗물(73.1%)'이자 '시민 모두가 지켜야 할 공공자산(79.9%)'이란 점에 공감했다.
이회승 서울아리수본부장은 "이번 조사 결과는 수돗물에 대한 서울시민들의 신뢰가 분명히 높아졌다는 것을 보여준다"며 "앞으로도 과학적 수질관리와 정보공개를 강화해 누구나 안심하고 수돗물을 마실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