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기 순이익도 23억원으로 사상 첫 흑자
전체 거래액은 10.3% 증가한 8705억원
|
11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컬리의 올해 3분기 연결 기준 매출은 578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4%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61억원으로 같은 기간 105억원 개선됐다. 당기순이익도 23억원을 기록하며 사상 처음으로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전체 거래액(GMV)은 10.3% 늘어난 8705억원으로 집계됐다.
컬리 관계자는 "주력 사업의 견고한 성장과 신사업 추진을 통한 수익 구조 다각화가 큰 역할을 했다"며 "휴가철 등 비수기에 속하는 계절적 특성에도 시즌 상품 발굴 등 데이터 기반 큐레이션 강화로 거래액이 늘어났다"고 설명했다. 컬리의 실적 개선이 '리테일테크 전환'이라는 전략이 본격화된 결란 설명이다.
컬리는 단순한 신선식품 플랫폼에서 벗어나 데이터 기반의 상품 큐레이션과 자체 물류 인프라(FBK, Fulfillment by Kurly)·입점 판매자 배송(3P) 등으로 비즈니스 모델을 다각화했다. FBK 등이 포함된 3P 거래액은 전년 대비 45.7% 증가했다. 패션·주방·인테리어 등 고마진 비식품 카테고리에서 FBK 경쟁력이 강화되면서 수익성이 끌어올려졌다.
식품 부문에서도 성장세가 이어졌다. 컬리의 주력인 신선식품 카테고리는 3분기 거래액이 전년 동기 대비 7.7% 증가했다. 계절적 비수기에도 불구하고 냉동 간편식·음료·과일류 등 데이터 기반의 시즌 상품 큐레이션이 매출 방어에 기여했는 설명이다. 컬리 관계자는 " 뷰티컬리 역시 럭셔리와 인디 브랜드 등의 수요가 지속됐고 네이버와 함께 지난 9월 론칭한 컬리N마트도 성장에 기여했다"고 밝혔다.
물류 확장도 실적 개선의 주요 요인이다. 컬리는 지난해 2월부터 경주를 시작으로 포항·여수·광주 등 11개 지역에 샛별배송 권역을 확대한 데 이어 올 10월에는 전주·익산 등 전북 지역까지 신규 진출했다. 배송망 확대가 신규 고객 유입과 주문량 증가로 직결돼 거래액 성장세를 뒷받침했다는 분석이다.
김종훈 컬리 경영관리총괄(CFO)은 "올 3분기에는 주력 사업의 성장과 사업 다각화 효과가 맞물려 3분기 연속 영업이익 흑자와 첫 당기순이익 흑자를 달성할 수 있었다"며 "성장세를 유지하고 수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현재 추진 중인 신사업 활성화와 안착에 더욱 집중할 방침이다"고 말했다.








![[표1] 컬리 3분기 경영 실적 요약](https://img.asiatoday.co.kr/file/2025y/11m/11d/202511110100094780005573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