큐브위성 발사 위해 기술 검증 준비
우주산업 독립적 역량 확장
|
LG사이언스파크와 우주항공청은 14일 경남 사천시 우주항공청 본청에서 간담회를 열고 우주항공 기술 협업 방향과 추진 전략을 논의했다. 지난 6월 마곡에서 열린 첫 간담회에 이어 두 번째 회동으로 이번 자리에는 정수헌 LG사이언스파크 대표, 김민수 기술전략담당, 박태홍 글로벌O/I실장 등 LG 주요 기술 경영진과 윤영빈 청장, 노경원 차장, 한창헌 산업국장 등이 참석했다.
LG는 간담회에서 우주산업 진출을 위한 기술 검증 계획과 추진 방향을 공유하고 LG사이언스파크를 중심으로 통신모듈, 카메라, 배터리뿐 아니라 가전, 디스플레이, 데이터센터에 이르기까지 그룹이 보유한 다양한 기술을 결집해 미래 우주 비즈니스 모델을 모색하겠다는 구상을 밝혔다. 특히 2028년을 목표로 자체 부탑재위성(큐브위성) 발사를 검토 중이며, 탑재 기술 검증을 위한 준비를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LG는 이번 누리호 4차 발사에는 큐브위성 컨소시엄 형태로 참여하지만, 향후 자체 큐브위성을 발사해 우주산업에서의 독립적 역량을 키우겠다는 계획을 내놨다. 큐브위성은 10×10×10cm 규격의 초소형 위성으로 지구 관측 및 기술 검증 등에 활용되며, 오는 27일 예정된 누리호 4차 발사에는 총 12기의 큐브위성이 탑재될 예정이다.
LG에너지솔루션도 항공우주 기술 협력에 속도를 내고 있다. 지난 12일 미국 스타트업 '사우스8'과 항공우주용 배터리 셀 개발에 나선다고 발표했다. 사우스8은 세계 최초로 리튬이온 배터리용 액화 기체 전해질을 개발한 기업이며, NASA와 KULR 테크놀로지가 참여하는 항공우주 프로젝트의 공동 연구 파트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액화 기체 전해질과 특수 외장재 등을 사용해 최종 배터리 셀을 제작할 계획이다. LG는 2016년 NASA의 우주복용 리튬이온 배터리 공급 업체로 선정된 경험도 있다. 이 배터리는 산소 공급 장비와 통신 장비 등 우주 비행사의 생명 유지 장치에 사용되는 핵심 부품으로 당시 LG 배터리는 NASA의 엄격한 규격 테스트를 통과하며 성능을 인정받았다.
LG사이언스파크는 2023년 국내 유일의 달 탐사 로버 개발 기업 '무인탐사연구소'를 육성 스타트업으로 선정해 인큐베이터 프로그램을 통해 지원하고 있다. 또한 올해 1월 각 계열사의 기술 경영진이 참여한 LG기술협의회에서 우주산업의 미래 기회를 논의하는 자리를 마련했으며 이 자리에는 무인탐사연구소 조남석 대표도 참석해 정밀 과학탐사 로버가 현장에서 데이터를 기록·전송하는 과정 등을 바탕으로 LG 계열사와 가능한 협업 기회를 공유했다.
글로벌 시장에서도 우주항공 산업은 높은 성장 전망을 보이고 있다. 프레시던스 리서치는 2024년 4766억 달러 규모인 글로벌 우주항공 시장이 2034년 1조 121억 달러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으며, 모건스탠리도 2040년 세계 우주산업 규모가 1조 100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정수헌 대표는 "누리호 4차 발사의 성공적 진행을 기원하며, LG도 이번 발사를 통해 다양한 부품을 검증하겠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LG는 미래 시장에서 이길수 있는 'Winning Tech(이기는 기술)'를 선제적으로 확보하고자 하며, 우주산업 또한 미래준비 분야 가운데 하나다"라며 "LG사이언스파크를 중심으로 우주시장이라는 새로운 영역 개척에 나서 국가 우주산업개발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