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경주시 ‘핵융합 핵심기술 인프라’ 부지 공식신청...50년 원전운영 경험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117010008667

글자크기

닫기

경주시 장경국 기자

승인 : 2025. 11. 17. 15:10

문무대왕과학연구소 조감도
문무대왕과학연구소 조감도
경북 경주시가 '핵융합 핵심기술 개발과 첨단 인프라 구축사업' 부지 유치로 국가 미래 에너지전략을 선도하는 핵심 거점 도시로의 도약에 나선다.

17일 경주시에 따르면 지난 13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추진하는 '핵융합 핵심기술 개발과 첨단 인프라 구축사업'의 부지 유치 공모에 공식 신청했다.

신청 부지는 문무대왕과학연구소의 2단계 부지 약 51만㎡로, 산업단지로 조성돼 있어 향후 연구시설 건립 착공이 신속하게 이뤄질 수 있는 조건을 갖추고 있다.

경주는 지난 50년간 원전을 안전하게 운영해 온 도시로, △한국수력원자력 본사 △월성원전 △한국원자력환경공단 본사 △중저준위방폐장 등 국가 원전산업 생태계의 핵심기관이 모두 집적돼 있다.

특히 월성원전이 다량 보유한 삼중수소는 핵융합 연구의 필수 연료로, 장거리 운송 없이 신속 안전하게 조달할 수 있는 강점을 갖는다.

연구시설에서 발생하는 방사성폐기물 또한 원거리 이동 없이 안전하게 처분할 수 있다.

경주시는 원전 50년, 방폐장 10년 운영 과정에서 지질 지반 안전성을 충분히 검증받았으며, 2018년 준공한 극 초정밀 양성자가속기(펨토아토 단위) 운영 경험 등 첨단공학 기반도 갖추고 있다.

또 풍부한 냉각수 확보, 원전과 방폐장을 중심으로 구축된 방사선감시망, 완비된 비상대응체계 등은 핵융합 연구시설의 안전성과 운영 효율성을 확실히 뒷받침한다.

부지가 문무대왕과학연구소 내에 위치할 경우, 시설 공동 활용, 연구네트워크 연계, 전문 인력과 장비 공유가 가능하다.

특히 인근의 양성자과학연구단, 중수로해체기술원, SMR제작지원센터 등 기존 연구 거점과의 협력은 핵융합 연구에 큰 시너지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된다.

정부가 달성하려는 핵심기술은 핵융합 소형화 기술 고도화, 핵융합 전력생산 기술 확보 두 가지로 요약된다.

경주는 문무대왕과학연구소의 SMR과 신형원자로 연구, SMR제작 지원센터 기능, 조성 중인 SMR국가산업단지 등 관련 기반을 폭넓게 확보하고 있어 핵융합 소형장치 개발부터 기자재소 부장 공급까지 아우르는 핵심 거점으로 성장할 충분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

경주는 2025 APEC 정상회의 개최를 계기로 국제적 인지도와 협력 기반이 크게 강화됐으며, 원전방폐장을 수십 년간 수용해 온 지역 특성상 주민수용성과 정책수용성 또한 이미 확보돼 있다.

본 사업은 2027년부터 2036년까지 추진되며, 핵심기술 개발과 첨단 인프라를 완비하면 우리나라는 '우라늄 핵분열 중심의 기존 원자력'에서 '수소 동위원소 기반의 핵융합발전'으로 전환하는 역사적 전기를 맞게 된다. 이 과정에서 필요한 안전 설계 엔지니어링 운영과 정비기자재 소 부장산업 등은 모두 기존 원자력 산업의 역량을 기반으로 한다.

주낙영 경주시장은 "경주는 원자력 관련 핵심 시설과 연구 인프라가 집적된 국내 유일의 도시로서, 핵융합 연구개발 산업화를 위한 필수조건을 모두 갖추고 있다"며, "경주가 본 연구시설의 최적지임은 명확하고, 국가의 미래 에너지전략을 선도하는 핵심 거점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장경국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