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1일 정치권에 따르면 이번 판결로 국민의힘은 여론전을 한층 강화할 것으로 보인다. 패스트트랙 충돌은 당시 다수당인 민주당이 제1야당과 협의 없이 관련 법안을 강행 처리하면서 발생한 사건이다. 원내대표를 포함한 당 현역들이 당선 무효형을 피하면서 '개헌 저지선(101석)'을 사수했고, 다가오는 추경호 전 원내대표의 구속 영장까지 기각되면 국민의힘은 사실상 사법리스크에서 '자유'가 된다.
여기에 패스트트랙 충돌 당시 민주당 주도로 통과된 공수처는 '5년간 6건 기소'로 인해 무용론에 시달리고 있다. 패스트트랙 충돌 당시와 현재 정치 지형마저 여대야소 구도로 겹치며 국민의힘의 '다수당 폭거' 주장에 힘이 실릴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국민의힘은 대장동 항소 포기를 사례로 이번 패스트트랙 1심에 대한 검찰의 항소 여부에도 주목하고 있다. 검찰이 대장동 사건에만 항소를 포기하고 패스트트랙 사건에는 항소할 경우 '이중잣대' 논란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모처럼 호재를 맞은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는 대장동 카드를 들고 전국을 순회하며 '외압' 의혹과 '이재명 대통령 재판 재개' 목소리를 키우겠다는 방침이다.
22일부터 내달 2일까지 당은 규탄 문구를 단 버스를 타고 '이재명 정권을 향한 민생 레드카드'를 주제로 부산·경북·충남·대구·충북·강원·인천·경기 등 11개의 지역을 훑는다. 당대표가 직접 현장을 누비며 정부의 실정을 부각하고 민심을 끌어안겠다는 취지로 해석된다.
최근 장 대표는 당 중진들과 연쇄 회동을 추진하며 당내 결속을 다지고 있다. 다가오는 6·3 지방선거를 앞두고 의원들과 스킨십을 넓히며 전열 재정비에 들어간 것으로 해석된다. 전날(20일) 장 대표는 당 재선 의원들과의 면담에서 12·3 비상계엄 1년이 되는 내달 3일에 '외연 확장' 메시지 발표 요구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12월 3일은 장 대표의 취임 100일과도 겹치는 터라, '메시지 주제'를 두고 당 안팎에서는 과거와의 단절부터 더 강력한 대여공세 등 다양한 주장이 나오고 있다. 단일대오와 강도 높은 대여투쟁에 방점을 찍고 있는 점을 근거로 취임 100일 메시지 역시 이와 비슷한 주제가 나올 것이라는 관측에 무게가 실린다. 이번 1심 선고를 계기로 국민의힘이 여론 반격에 나설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