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성학 칼럼] 역사적으로 가장 낡은 北의 대남전략에 당하고 말 것인가?

    전쟁에서 승전의 가장 좋은 군사전략은 무엇일까? 이것은 인류역사에서 거의 모든 정치철학자나 전략가, 그리고 통치자들이 항상 스스로 묻고 또 타인에게 자문을 구했던 과제이다. 그렇다면 그 해답을 맨 먼저 구할 곳은 서양의 모든 철학의 출발점인 고대 그리스의 정치철학일 것이다. 그러나 불행..
  • [강성학 칼럼] 미국의 민주주의는 여전히 건강한가?

    "우리는 이런 진실을 자명하다고 간주한다: 모든 인간은 평등하게 창조되었으며 그들의 창조자로부터 확실한 불가양도의 권리들을 부여받았다. 이것들 가운데에는 생명, 자유, 그리고 행복의 추구가 있다." 미국의 독립 혁명가들 중 한 사람인 토마스 제퍼슨(Thomas Jefferson)이 작성..
  • [강성학 칼럼] 중립국 국가전략이 21세기에도 유용할까?

    "당신에게 비우호적인 자는 당신의 중립을 요구할 것이고 당신에게 우호적인 자는 당신에게 무기를 들라고 할 것"이라는 근대 정치학의 아버지 니콜로 마키아벨리(Niccolo Machiavelli)의 엄중한 경고에도 불구하고 약소국들은 본능적으로 생존을 위해 중립을 선언하고 또 그런 지위를..
  • [강성학 칼럼] 정치에 물든 지식인의 배반(Betrayal)은 우연인가?

    지식인은 진리를 항구적으로 추구한다. 반면에 정치가는 우발적인 사건들을 다룬다. 사상가는 무엇이 옳은지를 정의할 의무를 갖는다. 반면에 정책결정자는 얻을 수 있는 것을 다루어야만 한다. 교수는 궁극적인 목적에 초점을 맞추지만 정치인은 궁극적인 해결이란 별로 없는 길을 정처 없이 거닐면서..
  • [강성학 칼럼] 더러운 북한의 핵폭탄에 고귀한 인권폭탄으로 맞서자

     "삶에는 두 개의 비극이 있다. 하나는 가슴속에서 욕망의 대상을 잃는 것이고 또 다른 하나는 그것을 성취하는 것이다." 이것은 영국의 비평가 조지 버나드 쇼(George Bernard Shaw)가 한 말이다. 이 말을 냉전의 종식에 융통성 있게 적용한다면 소련은 냉전에서 패배의 비극을..
  • [강성학 칼럼]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중 어느 쪽이 치즈처럼 잘릴 것인가?

    국제평화와 안전을 약속한 유엔헌장과 파리헌장을 동시에 노골적으로 위반하면서 작년 2022년 2월 24일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기습 침략하여 시작된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이 벌써 2년째 계속되고 있지만 종전은 물론 평화의 전망은 아직도 오리무중이다. 그동안 수많은 양국의 병사들이 참담하게..
  • [강성학 칼럼]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새 지정학적 조건과 한국의 역할은?

    오늘날 유럽과 아시아는 한 세대의 탈냉전시대 분위기가 거의 사라지고 치열한 군비경쟁의 시대로 다시 접어들었다. 유럽에서는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으로 그동안 간직했던 재래식 무기들을 경쟁적으로 우크라이나에서 소비하고 최신 첨단무기들로 재무장하느라 야단법석이다. 반면에 우리가 살고 있는 아..
  • [강성학 칼럼] 미국을 강대국으로 만든 첫 대통령: 시어도어 루즈벨트

    20세기는 누가 말해도 "미국의 세기"였다. 그리고 미국의 세기를 열었던 인물은 미국의 제26대 시어도어 루즈벨트(Theodore Roosevelt)대통령이었다. 그리하여 그는 미국의 러시모어 바위산(Mount Rushmore)에 그의 얼굴이 새겨진 20세기 유일한 대통령이다. 그는 조..
  • [강성학 칼럼] 민주주의는 우리에게 너무 독한 양주가 아니었을까?

    "민주주의가 안전한 세계를 만들기 위해서"라는 기치아래 제1차 세계대전에 뒤늦게 뛰어든 미국의 제28대 우드로 윌슨(Woodrow Wilson) 대통령은 그가 대학교수 시절에 민주주의 제도와 성격은 의식적인 노력과 자손에 전해지는 적성을 통해서 발전한다면서 오직 영국인들만이 습관을 통해..
  • [강성학 칼럼] 조지 워싱턴 대통령과 제이 조약(Jay Treaty)의 교훈

    모든 국가는 자국의 주관적 이익을 추구한다. 주관적 이익 추구는 종종 타국과 갈등에 휩싸인다. 그러면 국가간 정의의 문제가 제기된다. 국가간 정의는 근본적으로 그들 사이에 동등한 힘을 필요로 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강자는 자기가 원하는 것을 얻고 약자는 그것을 인정할 수밖에 없는 것이..
1 2 3 4 5

카드뉴스

lef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