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2일 아시아투데이 취재를 종합하면 이재명 대통령의 수도권 규제완화 공약인 △경기북부 대개발 △미군반환공여지 주변 지역 국가 지원 확대 등이 정부 핵심 시책으로 실행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이들 공약 사안과 상당히 맞닿아 있는 의정부시를 경제자유구역 지정에서 탈락시키는 것이 사실상 무리이지 않겠냐는 게 관가의 대체적인 시각이다.
경제자유구역 지정은 내년 산업통상자원부 사전 자문 및 관계부처 협의 등을 거쳐 오는 2027년께 산업통상자원부가 최종 후보지를 결정하게 된다.
이럴듯 정부와 경기도의 정책 기조가 의정부시가 의욕적으로 펼치고 있는 경제자유구역 지정 추진 배경과 결을 같이 하고 있다는 점도 의정부시 낙점에 유리하게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여기에 경기북부지역이 수도권·군사규제 등에 따라 국가정책에서 지속적으로 소외돼 온 점도 간과하기 쉽지 않은 상황이라 경기북부 대표도시인 의정부시를 뺀 경제자유구역 지정 유치전이 공론화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목소리도 흘러나온다.
이재명 정부 출범과 발맞춰 미군 반환 공여지 개발 계획과 관련한 정부와 경기도의 발언이 잇따르고 있다. 경기도는 이달 초 김대순 행정2부지사를 단장으로 한 '미군 반환 공여지 개발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는 등 공여지 개발 속도를 높일 방침임을 분명히 했다.
|
의정부시는 이런 대규모 부지를 국가로부터 감정평가 금액으로 매입을 할 수 있는 만큼 부지 매입 비용이 저렴하다는 강점을 최대한 활용해 이번 유치전에 임한다는 입장이다.
이에 반해 사유지를 매입해 개발하게 될 수원시(서수원 일원, 660만㎡)와 파주시(교하동 일원, 543만㎡)의 경우 통상 부지 매입 협상 가격이 감정가격의 약 2.5배 이상의 가격이 형성되는 점을 감안할 때 그 비용 부담이 만만치 않아 부지 측면에서 의정부시에 비해 낮은 점수를 받을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
의정부시는 CRC에는 디자인·미디어콘텐츠,인공지능(AI) 등 신산업이 융합된 글로벌 비즈니스 허브를 조성하며 캠프 카일은 성모병원, 을지대 등 병원과 연계해 바이오산업을 확장해 바이오 첨단 의료단지로 각각 개발할 방침이다.
이를 통해 의정부시는 수도권 주요 산업 벨트를 연결하는 첨단산업 허브로 도약하고 외국인 투자·기업유치를 통한 도시 자족성을 키워나간다는 계획을 이번 유치전의 키 포인트로 활용한다는 구상도 갖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