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SK하이닉스, 10년간 영업익 10% 성과급으로… “업계 새 기준, 모범사례”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901010000521

글자크기

닫기

이서연 기자

승인 : 2025. 09. 01. 16:02

성과급 상한 폐지
news-p.v1.20250901.c8a33e06164e4443b4bad443f9603eba_P1
/SK하이닉스
SK하이닉스가 향후 10년간 매년 영업이익 10%를 성과급(PS) 재원으로 활용키로 노조와 합의했다. 업계에선 내부 갈등을 해소하고 새로운 기준이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보장했다는 평가가 쏟아진다. 또 보상 경쟁력을 높여 반도체 전문 인력 확보하고 압도적인 우위를 이어가겠다는 회사 측 의지도 반영됐다는 관측이다.

1일 업계에 따르면 SK하이닉스 전임직(생산직) 노조와 사측은 기본급 6% 인상과 PS 상한선 폐지를 골자로 한 '2025년 임금교섭 잠정합의안'을 도출했다. 합의안은 이날 이천·청주 캠퍼스에서 구성원들에게 설명됐으며, 주중 동의 절차를 거쳐 최종 확정될 전망이다.

잠정합의안에 따라 SK하이닉스는 매년 영업이익의 10%를 PS 재원으로 활용한다. 산정 금액의 80%는 당해 지급하고 나머지 20%는 2년에 걸쳐 이연 지급(매년 10%씩)한다. 기존 '기본급의 최대 1000%'로 설정됐던 상한 규정은 폐지된다.

이번에 새롭게 마련된 성과급 기준은 향후 10년간 적용될 계획이다. 내부 갈등을 해소하고 새로운 기준이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보장하겠다는 취지로 풀이된다. 보상 경쟁력을 높여 반도체 전문 인력을 확보하고 업계 우위를 이어가겠다는 회사 측 의지도 반영됐다는 관측이다.

노사는 지난 5월 노조가 제시한 8.25% 임금 인상, 연봉 상한 상향, PS 상한 폐지 등을 두고 11차 교섭까지 줄다리기를 이어왔다. 성과급 제도를 둘러싼 이견으로 노조가 창사 이래 처음으로 총력 투쟁 결의대회까지 열었으나, 결국 상한 폐지를 포함한 새로운 성과급 산정 방식에 합의점을 찾았다.

사측은 이번 합의안이 △경영 실적과의 명확한 연계 △불황기에도 보상 안정성 유지 △우수 인재 확보를 통한 경쟁력 강화 △재무 건전성 제고 등 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번 합의로 SK하이닉스 노사가 극심한 갈등 국면을 봉합하고 장기적 성과급 룰을 마련한 만큼 향후 노사 관계 안정화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이서연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