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전 장관 해당 의혹 조사는 오늘 중 마무리 예정
|
정민영 특검보는 17일 브리핑에서 "'호주대사 임명 의혹'과 관련해 내일 오전 10시 김 전 차관을 불러 조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김 전 차관은 이종섭 전 장관에 대한 공관장 자격 심사 당시 심사위원회 위원장이었다. 정 특검보는 "지난 8월 김 전 차관에 대한 조사 이후 특검은 해당 의혹 수사를 하면서 확보한 진술과 증거 추가 조사가 필요하다고 봤다"며 조사 이유를 설명했다.
순직해병 특검팀은 지난 조사 당시엔 김 전 차관이 참고인 신분이었으나, 현재 의혹 관련 피고발인에 가까워 조사를 진행한 뒤 결과를 종합해 혐의 인정 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다.
이 전 장관의 호주대사 임명 의혹은 지난해 3월 이 전 장관이 순직해병 사망사건 수사 외압 의혹 피의자 신분으로 출국금지 상태였음에도, 인사 검증 적격심사에서 문제 없이 호주대사로 임명돼 불거졌다. 당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가 출국금지 해제를 반대한다는 의견에도 법무부는 출국금지를 해제하면서 이 전 장관의 도피 논란이 일었다.
이후 이 전 장관은 출국 11일 만에 귀국해 귀국 명분으로 파악된 '방위산업협력 주요 공관장 회의'에 참석한 뒤 대사 부임 25일 만에 사임했다.
순직해병 특검팀은 이 전 장관이 귀국 명분을 마련하려 다른 공관장들까지 한국에 불러 방위산업협력 주요 공관장 회의를 급조한 게 아닌지 확인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순직해병 특검팀은 이날 오전 이 전 장관을 참고인 신분으로 소환했다. 정 특검보는 "이 전 장관에 대한 법무부의 인사 검증, 외교부의 공관장 자격 심사, 법무부의 출국금지 해제까지 여러 절차에서의 주요 피의자들과 주고받은 연락과 논의한 내용 등을 조사할 계획이다"고 했다.
이 전 장관 조사는 최소 3차례 이상으로 예정돼 있으며 순직해병 특검팀은 해당 의혹에 대한 이 전 장관 조사는 오늘 중으로 마무리하겠단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