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초고령사회 해법’…청양형 복지주택에서 찾다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923010012361

글자크기

닫기

청양 배승빈 기자

승인 : 2025. 09. 23. 09:50

살던 곳에서 건강한 노후…초고령사회 모델 제시
1. 청양군, 고령자복지주택과 의료·돌봄 통합지원으로 ‘초고령사회 해법’ 제시(2)
청양군보건의료원 의사가 고령자복지주택을 방문해 입주민의 건강 상태를 살피고 있다./청양군
충남 청양군이 전국 지자체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전체 인구의 40% 이상이 65세 이상인 초고령사회에 진입한 청양군이 주거와 복지, 의료를 결합한 새로운 노인 돌봄 모델을 제시하며 지방소멸 위기 속 해법을 찾고 있기 때문이다.

기존 시설 중심의 돌봄 시스템이 가정과 지역사회와의 단절을 초래하고 막대한 사회적 비용을 유발해 온 가운데 청양군은 어르신들이 살던 곳에서 존엄을 유지하며 건강한 노후를 보낼 수 있는 '살던 곳에서의 건강한 노후(Aging in Place)' 모델을 본격화했다.

23일 청양군에 따르면 그 첫 결실이 바로 지난 2023년 7월 준공된 '청양교월 고령자복지주택'이다. 총 275억 원이 투입된 이 단지는 영구임대 127호 규모로 다양한 평형의 주택과 함께 공동식당, 재활운동실, 주간·단기 보호실 등 다양한 편의시설을 갖췄다.

입주민들은 이제 혼자 밥을 차려 먹는 대신 이웃과 어울려 식사하고 운동하며 사회적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이 모델은 '대한민국 건강고령친화도시 정책대상'과 '살기좋은 아파트 선발대회'에서 수상하며 그 우수성을 대외적으로 인정받았다.

청양군의 혁신은 여기서 멈추지 않았다. 보건복지부의 '노인 의료·돌봄 통합지원 시범사업'에 연이어 선정되며 고령자복지주택 입주민뿐만 아니라 584명의 어르신에게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원격·방문 진료, 치매 관리 등 의료 서비스를 비롯해 △긴급돌봄, 장기요양보험 서비스 등 요양·돌봄 서비스 △식사 배달, 이동 지원, 응급안전 IoT 기기 설치 등 생활지원 서비스 △낙상 예방 주거개선, 가스·화재 안전관리 등 주거지원 서비스까지 총 38개에 달하는 서비스가 제공된다.

군은 민·관 협력체계를 구축해 지속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통합돌봄센터를 중심으로 보건의료원, 사회복지관, 건강보험공단, 민간단체 등이 참여해 대상자 발굴부터 서비스 제공, 사후관리까지 빈틈없는 연계 시스템을 구축했다.

돌봄 종사자에 대한 꾸준한 교육과 역량 강화 프로그램도 병행하며 서비스 품질을 높였다.

이러한 청양군의 노력은 전국적인 관심을 불러왔다. 이미 다수의 지자체가 청양 모델을 벤치마킹하기 위해 현장을 방문하고 있다. 정책 담당자들의 문의도 잇따르고 있다.

내년 3월부터는 '의료·요양 등 지역 돌봄의 통합지원에 관한 법률'이 시행될 예정이어서 청양 모델은 특정 지역의 성공 사례를 넘어 초고령사회의 국가적 표준 모델로 자리매김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김돈곤 군수는 "청양군은 초고령사회의 돌봄 해법을 제시하는 전국적 표준 모델"이라며 "앞으로도 어르신이 존엄을 지키며 살아갈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배승빈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