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취임6개월 오세현 아산시장, 민선 7기 뿌린 씨앗 ‘굵직한 사업 성과로’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929010015398

글자크기

닫기

아산 이신학 기자

승인 : 2025. 09. 29. 09:35

국립경찰병원·강소특구·희망로 등 장기투자 결실
아산 경찰병원 조감도
오는 2029년 완공을 목표로 건립이 추진되는 아산 경찰병원 조감도. /아산시
오세현 아산시장이 취임 6개월을 맞은 가운데 아산시가 민선 7기부터 준비해 온 굵직한 사업들이 속속 결실을 맺으며, 50만 자족도시로의 초석을 다지고 있다.

특히 코로나19가 계기가 된 국립경찰병원, 혁신 생태계를 키운 강소특구, 비수도권 최대 규모의 도시개발, 동부권 순환축의 마지막 퍼즐인 '희망로' 개통까지 그동안 뿌려온 씨앗들이 시민 삶을 바꾸는 성과로 이어지고 있다.

29일 아산시에 따르면 의료·산업·정원·도시개발 분야에서 성과가 잇따르는 가운데 우선 지난 8월 국립 아산경찰병원이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하며 건립이 본격화됐다.

총사업비 1724억 원을 투입해 300병상 규모 국립 공공종합병원으로 조성되며, 2027년에 착공해 2029년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내과·외과·소아과·산부인과 등 필수 진료과를 포함한 24개 진료과와 심뇌혈관센터, 정신건강센터 등 6개 전문센터가 설치된다. 8만1,118㎡ 부지를 유지해 향후 2단계 확장도 가능하다.

충남권 최초의 공공 종합병원이 아산에 자리하게 되면, 그동안 지역 외 병원에 의존하던 전문 진료 수요를 지역에서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시민들의 의료 복지는 한층 강화되고, 충남권 전체가 재난·감염병 대응 역량을 높이는 든든한 기반도 마련될 전망이다.

미래 성장동력 확보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가 천안아산 강소특구다.

2020년 지정된 이후 불과 5년 만에 창업기업 49개, 연구소기업 33개, 700여 개의 일자리를 만들어냈다. 2023년 정부 평가에서 '최우수' 등급을 받으며 성과를 입증하기도 했다.

올해 2단계 사업이 승인됐으며, 탕정2지구와 천안 신산업단지까지 배후 공간 확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미래 모빌리티, 차량용 반도체, 바이오헬스 등 신성장 산업 전반을 아우르는 혁신 거점으로의 도약이 기대되고 있다.

강소특구가 기술과 기업 생태계를 이끌어간다면, 지식산업센터와 신도시 개발은 이를 뒷받침하는 기반이 된다. KTX 천안아산역세권에 들어서는 아산 지식산업센터는 창업과 중소기업 성장을 지원하는 핵심 거점으로 조성된다.

모종2지구·풍기역지구·둔포 센트럴파크·탕정2지구 등 대규모 개발사업도 공공주도 환지방식을 통해 속도를 내고 있다. 난개발을 막고 주거·산업·교통이 조화를 이루는 계획도시로 전환하려는 장기 전략이 차례로 현실화되고 있다.

강소특구의 혁신 생태계와 지식산업센터·신도시 개발의 공간 인프라가 서로 맞물리며 아산의 미래 먹거리를 키우는 두 축을 완성하고 있다.

아산시 희망로 전경
아산시 탕정·배방·천안R&D를 잇는 희망로 전경. /아산시
지난 6월에는 탕정·배방·천안R&D를 잇는 순환축의 마지막 퍼즐인 '희망로'가 개통됐다. 2018년 이순신대로, 2021년 새아산로에 이은 세 번째 순환축 도로다.

희망로는 탕정면 호산리와 매곡리를 연결하는 연장 1.1km, 왕복 6차로 도로로, 2021년 착공 이후 4년 만에 완공됐다. 총사업비 489억원(시비 260억원, LH 139억원, 민간 90억원)이 투입됐다.

이번 개통으로 모다펜타포트 지하차도와 인접 연결도로가 함께 열리면서, 탕정·음봉 일대에서 KTX천안아산역과 천안R&D집적지구 접근성이 크게 개선됐다.

배방지구와 탕정2지구를 직접 연결해 아산센트럴시티 개발, 광역복합환승센터,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단지 등 핵심 사업과 유기적으로 맞물리는 효과가 주목되고 있다.

오세현 시장은 "아산시는 위기를 기회로 전환하고, 개별 사업을 도시 전략으로 엮어내며 지속 가능한 성장 구조를 만들어왔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민선 7기부터 뿌려온 씨앗은 이미 결실로 이어지고 있다"며 "공공의료, 혁신경제, 생활문화, 녹색공간, 도시경관에서 이뤄낸 성과를 발판으로 50만 자족도시로 힘차게 도약하겠다"고 밝혔다.
이신학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