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경기도 수출기업 47.3%, 미국 고관세 직접적 피해...52.5%는 상당한 타격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929010015466

글자크기

닫기

수원 김주홍 기자

승인 : 2025. 09. 29. 10:03

경과원, 수출 중소기업 300개사 대상 미국 고관세 영향 실태 파악
경과원, 금융·마케팅 등 정책 지원 강화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전경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전경./경과원
경기도 기업의 47.3%가 미국 고관세 정책 변화로 인해 직접적인 피해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52.5%는 '상당한 타격'을 입었다고 응답해 충격 규모가 적지 않음을 방증했다.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경과원)이 도 내 수출 중소기업 300개사를 대상으로 '미국 고관세 정책에 따른 경기도 수출 중소기업 영향 실태조사' 를 실시하고 29일 이 같이 밝혔다.

글로벌 통상 환경 변화 속에서 도내 수출기업의 피해 현황을 진단하고 향후 지원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추진 된 이번 조사는 도 내 수출 중소기업 300개사를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기업들의 애로사항과 대응전략, 정책 수요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했다.

조사 결과 피해 유형으로는 △수출 단가 상승에 따른 가격경쟁력 약화(29.3%) △해외 바이어 거래 유지 어려움(28.0%) 등이 우선적으로 꼽혔다. 이는 고관세로 인한 원가 부담이 단순히 기업 수익성 악화에 그치지 않고, 해외 거래선 이탈로 이어지는 구조적 문제로 확대되고 있음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그럼에도 기업들은 적극적인 대응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전체 응답 기업의 55.0%는 △생산비 절감(20.3%) △신규 수출국 발굴(20.0%) 등을 통해 자구책을 추진 중이라고 답했다.

업종별로는 자동차 업종이 신규 시장 개척 의지를 36.1%로 나타내 평균보다 훨씬 높았다. 반도체 업종은 기존 시장 유지·집중 전략을 선택한 비율이 51.5%에 달해 보수적 태도가 뚜렷했다.

신규 진출 희망 지역으로는 △EU(24.7%) △인도(11.1%) △일본(6.2%) 순으로 조사돼 미국 의존도를 낮추고 시장 다변화를 모색하려는 흐름도 확인됐다.

기업들은 관세 외에도 △수출 운영자금 부족(49.7%) △운송비 상승(44.0%) △가격경쟁력 약화(40.3%)를 주요 애로사항으로 꼽았다.

응답 기업의 62.7%가 수출금융 지원을 최우선 과제로 꼽았으며 △해외전시회 참가 지원(48.0%) △해외규격 인증 지원(47.7%) △해외마케팅 대행 지원(46.7%) 등 글로벌 시장 진출에 직접적으로 도움이 되는 사업에 대한 수요가 높게 나타났다.

경기도의 수출지원제도 활용 경험은 전체의 52.7%였으며, 이 가운데 71.5%는 "만족한다"고 답해 제도의 효과성이 입증됐다.

김현곤 경과원장은 "이번 조사로 미국 고관세 정책 변화가 도내 수출 중소기업에 큰 충격을 주고 있음을 확인했다"며 "기업들의 자구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는 만큼, 도와 긴밀히 협력해 금융·마케팅 등 현장에서 체감할 수 있는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강조했다.
김주홍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