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내 폐의약품 수거함 1771개…동당 평균 4개
|
서울시는 30일부터 시내 약국 약 5500곳에 '폐의약품 수거함 QR 스티커'와 '올바른 안내 포스터'를 배포한다고 29일 밝혔다.
시 관계자는 "폐의약품을 종량제봉투나 싱크대 등에 부적절하게 배출하면 약 성분이 토양과 하천으로 흘러 들어가 동식물의 생식·성장을 해치고 우리 건강에도 영향을 준다"며 "조제약·알약·캡슐은 포장·밀봉 상태로, 물약·시럽·연고 등은 마개를 꼭 닫아 수거함에 넣으면 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건강기능식품(비타민·오메가-3·유산균제 등)은 일반쓰레기로 배출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현재 시내 편의약품 수거함은 1771개(구청·주민센터·보건소 등 938개, 우체통 833개)로, 동당 평균 4개 설치돼 있다. 또 7개 자치구(성동·강북·도봉·노원·서대문·서초·강남구)에서는 약국 1920곳이 자체적으로 폐의약품을 수거하고 있다.
시 폐의약품 수거량은 지난해 241톤으로, 2021년부터 매년 30% 이상 증가 추세다. 올해 수거량은 178톤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12.2%인 20톤 늘었다.
정미선 시 자원순환과장은 "시민분들이 폐의약품을 편리하게 배출하고,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분리배출 장소 확대 등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