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일 충북도에 따르면 최근 농업 현장은 기상 이변과 기후 변화로 인한 재배 불안정, 농촌 고령화에 따른 인력 부족, 신규 귀농·귀촌인의 농업 경험 부족 등 복합적인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 이에 따라 데이터와 첨단 기술을 활용한 체계적인 경영관리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이번에 마련된 모델은 농업 빅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소득 1억원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스마트농업 도입 효과와 경영 성과를 구체적으로 제시해 농가가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특히 2024년부터 2025년까지 토마토와 수박을 대상으로 경영 실태, 노동 투입, 생산성과 생육·환경 데이터를 통합 분석한 결과, 선도 농가와 일반 농가 간 수익성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수박의 경우, 재배 면적 4000평에서 생산량 약 14만1000kg을 확보하면 목표 소득 1억원 달성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위해서는 모델 도입 연차별 생산성을 1년 차 75%, 2~3년 차 90%, 4년 차 이후 100%까지 끌어올려야 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도 농업기술원 박정미 박사는 "이번 연구는 농가별 특성과 목표에 맞춘 데이터 기반 경영모델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스마트농업 정착과 확산에 기여하고 농가의 경영 효율성과 소득 증대를 동시에 실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