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KB손보·라이프 ‘1조 브라더스’, 5조 클럽 KB금융 효자로 우뚝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031010014062

글자크기

닫기

이선영 기자

승인 : 2025. 11. 02. 18:07

보험 계열사 3분기 누적 순익 1조217억
그룹 전체 순이익 중 20% 비중 차지
clip20251102143244
구본욱 KB손해보험 대표이사 사장(왼쪽)과 정문철 KB라이프 대표이사 사장(오른쪽). /각사
KB금융그룹의 보험 계열사들이 그룹의 비은행 실적을 견인하고 있다. KB손해보험과 KB라이프에서 벌어들인 순이익이 3분기 누적 1조원을 웃돌면서다. KB금융이 3분기 만에 '5조 클럽'에 올라선 가운데 약 20%에 달하는 순이익이 보험 계열사에서 나왔다.

양종희 KB금융 회장이 KB손보 대표이사를 역임했던 경험도 그룹의 보험 성장세의 배경으로 꼽힌다. 양 회장은 지난 2016년부터 5년 동안 KB손보를 이끄는 등 보험 부문을 직접 키워온 인물이다. 양 회장이 대표 시절 닦은 성장 기반 위에서 내부 출신인 구본욱 사장이 이를 본격적인 성장 궤도에 올려놨다는 평가다. 특히 보험 포트폴리오가 완벽하지 않은 타 금융그룹과 달리 KB금융이 생명·손해보험 포트폴리오를 안정적으로 구축해 온 결과 보험 부문이 효자 역할을 톡톡히 해내고 있다는 평가다.

2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금융이 올해 3분기까지 연결 순이익 5조1217억원을 기록한 가운데, 비은행 계열 중 보험 부문이 1조217억원의 순이익을 거뒀다. 이는 그룹 전체 순이익의 약 20%에 달하는 규모다. 은행 부문이 약 66%의 기여도를 보인 점을 감안하면, 비은행 실적의 절반 이상을 보험이 책임지고 있는 셈이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KB손보가 전년 동기 대비 3.6% 증가한 7669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했다. 채널별 경쟁 심화 및 손해율 상승으로 인한 보험영업손익 감소에도 불구하고 미국 국채금리(20년물) 하락 등 연중 지속된 시장환경 개선 영향과 수익성 높은 대체자산 투자 확대로 이자수익이 증가해 투자손익이 확대됐다.

KB라이프생명은 전년 동기 대비 2.3% 줄어든 2548억원의 순이익을 거뒀다. 예실차 손익 감소 및 손실계약 확대로 보험영업손익이 하락한 영향이다. 다만 부진한 생보업황 속에서도 종합건강보험·연금보험 등 상품포트폴리오 다변화로 매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는 평가다. 지난 2023년 푸르덴셜·KB생명의 통합으로 출범한 KB라이프는 시니어 등 신사업을 중심으로 경쟁력을 확보해 나가고 있다.

금융권에서는 KB금융이 양 회장 체제 아래 보험 중심의 비은행 강화가 이뤄지고 있다고 보고 있다. 현재 비은행 부문 순익 기여도 1위인 KB손보를 이끌고 있는 구 사장은 내부 출신인데, 구 사장을 대표로 낙점한 것도 양 회장이었다. 양 회장이 KB손보 대표를 역임할 당시 경영관리부문장(CFO), 리스크관리본부장(CRO) 등을 지낸 구 사장은 직접 발탁한 것이다. 올해 초 대표로 선임된 정문철 KB라이프 사장은 업황 부진 속에서도 선방하고 있다. 특히 KB라이프는 그룹의 시니어 사업을 주도하면서 신사업 경쟁력 확보에 중점을 두고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주요 금융지주사 중에서 생·손보 포트폴리오가 제대로 갖춰진 곳은 KB금융"이라며 "비은행 부문의 경쟁력을 얼마나 강화하는지가 향후 리딩 금융그룹 경쟁의 관건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선영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