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 부회장은 이날 진행한 3분기 실적발표 콘퍼런스콜에서 이같은 계획을 발표했다.
앞서 메리츠금융은 지난 2023년부터 3년 동안 지주 연결 당기순이익의 50%를 주주환원하는 정책을 수립, 추진해왔다. 김 부회장은 "총 주주환원율은 2023년 51.2%, 2024년 53.2%를 기록했고, 올해 역시 50%를 상회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중기 주주환원 정책의 효과는 명확했다. 지난 3년 간 총 주주 수익률은 175% 코스피와 주요 금융사를 크게 상회했고 PER은 3배에서 8배 수준으로 개선됐다"고 설명했다.
김 부회장은 "메리츠금융은 주주 환원을 자본 배치의 일환인 동시에 주주를 위한 독자적인 의미, 즉 경영 실적이 주가에 적절히 반영되도록 하는 장치로 인식하고 있다"며 "따라서 주주 환원 수익률과 내부투자 수익률 격차가 변동하더라도 연결 당기순이익 50% 주주 환원 원칙을 유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50% 주주환원률을 유지하는 이유는 첫째, 그동안 주가가 많이 올랐지만 동시에 예상 주당 순이익도 빠르게 증가해서 결과적으로 포워드PER의 역수인 자사주 매입 소각 수익률과 내부투자수익률 간 우열에 큰 변화가 없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둘째, 2018년부터 2020년 사이 메리츠는 자기자본이익률(ROE) 기준으로 20% 전후의 양호한 실적을 시현했지만 총 주주수익률인 TSR은 주가 지수 대비해서도 형편없는 수준을 나타냈다"며 "시장의 프라이싱 기능이 약해서 경영 실적이 주가에 반영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주주 환원에는 이런 왜곡 현상을 방지하는 기능도 있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김 부회장은 "지난 3년 간 주가도 상승했지만 예상 주당순이익도 증가해서 자사주 매입소각 수익률과 세후 내부투자수익률 간의 우열에 큰 변화가 없었다"며 "50%의 주주환원율을 유지하는데 무리가 없다"고 설명했다.
그는 "다만 예외적으로 M&A 등 대규모 투자가 장기 주주 가치를 극단적으로 높일 경우에는 주주 환원이 제한될 수 있다"며 "지난 3년 간 그런 경우는 없었고, 현재 상정하고 있지도 않지만 이런 경우가 발생하면 공시와 콘퍼런스콜을 통해 시장과 투명하게 소통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김 부회장은 유상증자와 관련해 "기업이 내재가치보다 고평가되면 유상증자를 통해 자본을 확충하고, 저평가되면 자사주를 매입소각하는 것이 주주가치를 높이는 올바른 자본배분 방식"이라며 "현재 메리츠는 내재가치 대비 여전히 저평가돼 있다. 따라서 지금은 유상증자를 고려하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