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는 '아프라스 2023'이 11일 JW 메리어트 동대문 스퀘어 서울에서 이틀간의 일정을 마치고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고 이날 전했다.
행사를 주관한 식약처에 따르면 폐막일에 채택된 서울선언문은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안전한 식품 유통 환경을 조성하고, 식품 안전과 관련한 새로운 글로벌 이슈를 신속하게 분석해 국제 식품 환경 변화에 협력 대응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또 의장국의 임기는 3년으로, 아프라스 사무국은 우리나라에 마련된다. 내년에 열릴 제2회 아프라스 회의 역시 의장국으로 선출된 우리나라가 개최한다.
이번에 참여한 국가는 한국을 비롯해 호주와 뉴질랜드, 베트남, 필리핀, 중국, 싱가폴 등 7개국이다. 당초 인도네시아도 한국을 찾을 예정이었으나, 보건 복지 관련 이슈가 발생해 온라인으로만 함께 했다.
아프라스 출범을 주도한 글로벌식의약정책전략추진단 오영진 단장은 "식품규제기관장 협의체로는 처음 발족된 아프라스를 통해 아태지역의 끈끈한 연대가 생긴 것 같다"라며 "우리나라의 강점은 식품규제의 디지털화다. 우리의 성공사례와 경험을 공유하고, 세계가 함께 직면한 위기인 기후변화와 탄소중립에 대응하는 방법을 논의하고 싶다"라고 말했다.
우리나라가 의장국이 되면서 초대 의장으로 함께 선임된 오유경 식약처장은 "새로운 식품안전 이슈와 변화를 신속히 파악하고 회원국의 식품 안전 수준을 높이는 데 우리나라가 선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더 많은 국가가 아프라스에 참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오 처장은 이날 싱가포르 림 콕 타이 식품청장과 신소재 식품원료 분야 기준 등과 관련해 식품안전 협력 약정(MOU)도 체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