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과 지방 격차 해소 위한 사업
협력업체 등 지속적 제도 정비 필요
|
28일 여의도 CCMM빌딩 컨벤션홀에서 전국 12대 종합일간지 아시아투데이가 주최하는 제6회 금융포럼에 참석한 패널 토론자들은 은행권이 상생금융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주목해야 할 키워드로 '넓고, 깊고, 길게'를 꼽았다.
상생금융 혜택을 받지 못하는 소외계층으로 지원 대상을 넓히는 한편, 지원방안도 단순 금융지원에 그치는게 아니라 고객들이 정말 필요한 부분을 지원해줄 필요가 있다는 얘기다. 상생금융이 단발적이 아니라 장기적으로 이어질 수 있는 방안도 고민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은행권에서도 상생금융의 지속성 등에 적극 공감하면서도 이를 위한 제도적인 정비가 이뤄져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이날 주제발표는 KB·신한·하나·우리·농협 등 5대 금융그룹과 IBK기업은행이 각각 진행했다. 이인규 국민은행 ESG상생금융부장, 이윤규 신한은행 상생금융부 셀장, 김지훈 하나금융그룹 ESG기획부 팀장, 성병용 우리은행 상생금융부장, 원종윤 NH농협은행 ESG기획단장, 이현숙 IBK기업은행 사회공헌부장이 각사가 추진 중인 상생금융과 추진 전략을 발표했다.
이어 고동원 성균관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가 좌장을 맡아 패널토론을 진행했다. 유상범 금융감독원 상생금융팀장, 백운성 충남연구원 연구기획단장, 서기수 서경대 금융정보공학과 교수 등이 토론자로 참여했다.
|
서 교수는 여기에 '때로는 작고, 간접적으로'라는 방향성도 부연했다. 그는 "은행 본점 차원에서 사용하는 3억원, 5억원보다도 지점에서 쓰는 30만원, 50만원이 가치가 있을 수 있다"며 "은행의 많은 지점망을 활용해서 상생금융을 실천하는 방안을 제안한다"고 언급했다. 이어 "은행이 여신심사를 할 때 상생을 실천하는 기업에 대해서 우대금리를 제공하는 방안으로 서포트하는 것도 한 방안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
백 단장은 또 "소비자들이 은행에서 자금 관련된 지원 외에 복합적인 서비스를 받고 싶어하기 때문에 은행도 금융과 비금융이 융합된 사업을 진행할 필요가 있다"며 "정부 차원에서 제도를 정비준다면 은행들이 상생금융을 더 넓게 펼칠 수 있는 방안이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전했다.
|
이윤규 신한은행 셀장은 "상생금융은 현재 태동기로, 미약한 부분이 있지만 방향성은 잘 흘러가고 있다"며 "상생금융이 지속적으로 가기 위해선 제도적으로 보완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현숙 기업은행 부장은 "중소기업, 중소기업 근로자들, 중소기업과 연결된 협력업체를 포함해서 지속적인 제도 정비를 하고 프로그램을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상생금융에 대한 명확한 정의, 평가 방식 등이 구체화될 필요가 있다는 주장도 나왔다. 원종윤 농협은행 단장은 "상생금융과 포용금융, 민생금융 등 다양한 용어가 혼재돼 사용되고 있다"며 "어느정도 개념 정리가 돼야 상생금융을 차별성 있게, 체계적으로 추진할 수 있지 않을까 싶다"고 언급했다.
김지훈 하나금융 팀장은 "(상생금융) 평가를 하는 과정에서 단순히 금액이 아니라 정성 평가가 이뤄지면 조금 더 자율적으로 사업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금융당국에서도 은행권의 상생금융 노력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적극 지원하겠다는 입장이다. 유상범 금감원 상생금융팀장은 "금감원에서는 상생금융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금융권에 확산되고, 조직 등 기반을 구축하는 부분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지원이 필요한 부분을 전달하면 해결책을 찾아보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제도적 정비와 관련해서는 "상생금융이 법제적인 측면에서 의무화와는 거리가 있다보니 정비가 충분하게 되지 않은 것은 사실"이라며 "(상생금융을) 지원하는 방안은 은행들과 어떻게 진행하면 좋을지 고민하겠다"고 전했다.
한편 이번 포럼은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은행연합회가 후원하고 '전국 12대 종합일간지' 아시아투데이가 주최·주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