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활성화 위해 애써 달라"
이날 오찬 전까지 야당의 언론의 의혹제기가 이어지고 있었다. 주요 언론들의 사설도 ‘인적쇄신론’까지 거론하고 있었다. 그러나 박 대통령은 이런 국면을 정면돌파했다. 일련의 상황 전개를 ‘국정 흔들기’로 규정한 것이다.
이는 지난 1일 청와대 수석비서관 회의에서 문서유출을 ’국기문란‘으로 규정하고, 문서의 내용에 대해선 ’사실무근‘이라고 잘라 말했던 것과 일맥상통한 언급이다.
박 대통령은 특히 청와대로 초청한 김무성 대표와 이완구 원내대표를 비롯한 새누리당 지도부와 당소속 예산결산특위 위원에게 ’지원‘을 요청했다.
박 대통령은 “우리 경제가 한시가 급한 상황인데 소모적인 의혹제기와 논란으로 국정이 발목 잡히는 일이 없도록 여당에서 중심을 잘 잡아주셨으면 한다”고 주문했다.
이런 당부에는 비단 야당의 공세뿐아니라 새누리당 비주류 일각에서 제기되는 청와대 시스템 개선론을 비롯해 이른바 ’문고리 3인방‘ 및 비서실장 인책론 등을 잠재우려는 측면도 있어 보인다.
일명 ’정윤회 문건‘의 내용이 찌라시 이야기로 채워진만큼 새누리당이 야당의 장단에 놀아나선 안 된다는 취지로 보인다.
나아가 박 대통령은 “찌라시에나 나오는 그런 얘기들에 나라 전체가 흔들린다는 것은 정말 대한민국이 부끄러운 일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특히 박 대통령은 ’정윤회 문건‘을 처음으로 공개한 세계일보 보도와 이후 언론을 통해 제기된 정씨와 비서관 3인방의 의혹 보도에 대해서도 “한 언론이 제대로 확인하지 않고 보도한 후에 여러 곳에서 터무니없는 얘기들이 계속 나오고 있는데 이런 일방적인 주장에 흔들리지 마시고 검찰의 수사결과를 지켜봐 주셨으면 한다”고 언론의 보도 분위기를 강하게 문제삼았다.
박 대통령의 이런 언급과 관련해 유재길 시대정신 사무처장은 7일 아시아투데이와의 통화에서 “박 대통령 언급대로 언론에서도 너무 추측 보도로 가지 말고 차분하게 팩트 중심으로 보도를 해주었으면 한다”며 “비선실세 논란은 어쨌든 여야 간에 정쟁이 될 수 밖에 없는 사안이지만 정치권에서도 검찰이 객관적으로 수사할 수 있도록 지켜보자”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이날 인책론이 거론되는 김기춘 비서실장과 이재만 총무비서관·정호성 제1부속비서관, 안봉근 제2부속비서관 등 이른바 핵심비서관 3인방의 거취문제는 언급하지 않았다.
그러면서 박 대통령은 “내년은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을 본격적으로 시작하는 해”라며 “경제활성화와 민생을 살리기 위한 법안을 국회에서 최대한 통과될 수 있도록 다시 한번 부탁의 말씀을 드린다”고 당부했다. 또 공무원연금 개혁안도 이번에 꼭 마무리되도록 해달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