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경북도, 내수면 고부가어종 ‘버들치’ 우량종자 52만 마리 분양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806010002605

글자크기

닫기

문봉현 기자

승인 : 2025. 08. 06. 11:09

1._버들치
버들치. / 경북도.
경북도 수산자원연구원 토속어류산업화센터가 내수면 양식산업의 활성을 위해 오는 7일까지 버들치 우량종자 52만 마리를 분양한다고 밝혔다.

6일 토속어류산업화센터에 따르면 버들치는 예로부터 맛이 좋아 민물고기 애호가들에게 사랑받는 토속 어종으로, 하천에서 쉽게 채집되던 대표적인 1급수 지표종이다.

이에 최근 하천 정비와 서식지 훼손 등의 영향으로 자연 개체수가 급감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공급이 포획 어업에 의존하는 상황이다.

센터는 자원 보호와 산업화를 위한 필요성에 따라 2021년부터 버들치에 대한 연구를 진행해 올해는 역대 최대 규모인 60만 마리의 종자 생산에 성공해 양식을 통한 대량생산 체계의 기술적 성과를 확립했다.

이번에 분양하는 버들치는 3~5㎝ 크기로 분양 후 4~6개월간 양식하면 8~12㎝까지 성장 한다.

이는 시중에서 ㎏당 2만5000~3만5000원에 거래되는 경제성 높은 어종이다.

특히 은어 등 계절별 어종과 복합 양식할 경우 1년에 2개 품종 출하가 가능해져 양식의 소득 증대가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봉화군의 한 양식장은 은어를 10월에 채란 후 다음 해 7월에 출하하고, 버들치는 4월에 채란 후 이듬해 1월에 출하하면서 소득을 올리고 있다.

센터는 이 같은 복합양식으로 내수면 양식산업 구조 개편과 산업화 기반을 조성할 계획이다.

정상원 경북도 해양수산국장은 "지난 5년간 시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최초로 버들치의 완전양식에 성공한 만큼, 내년부터는 종묘 생산량 확대와 간편식 개발, 요리법 보급 등 소비자 저변 확대로 침체한 내수면 산업에 활기를 불어넣겠다"고 말했다.

문봉현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