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1.4억달러서 101.1억달러
화장품류, 32.2억달러로 5배 성장
|
30일 대한상공회의소가 한국무역통계진흥원에 의뢰해 분석한 '최근 소비재 수출 동향'에 따르면 10년 전에는 우리나라 소비재 수출 상위권에 없었던 전기차(46위→2위), 식품(11위→6위), 화장품류(16위→7위), 중고차(17위→9위) 4개 품목이 상위 10개 항목에 새롭게 진입했다.
특히 전기차는 2014년 1억4000만달러에 불과했던 수출이 2024년에는 101억 달러를 기록하며 10년 만에 약 70배 가깝게 성장했다. 화장품류는 같은 기간 약 5배(6억→32억 달러), 식품은 약 3배(11억→33억 달러), 중고차(가솔린)는 약 5배(6억→29억 달러)로 늘어나면서 새로운 주력 수출품목으로 부상했다.
과거 수출 효자 품목으로 불렸던 디젤차(2위→11위), TV(7위→77위), 기타 비내구소비재(8위→13위), 의류부속품(9위→20위) 등은 10위권 밖으로 밀렸다.
자동차는 10년 전에도 수출 소비재 1위 품목이었지만, 글로벌 탈탄소 기조와 친환경 차량에 대한 수요 확대로 가솔린과 디젤차 수요가 전기차로 옮겨가고 있다는 게 대한상의 설명이다. 또 경쟁력 있는 가격과 고품질 이미지 등 한국 브랜드에 대한 높은 선호도로 중고차, 화장품, 식품 수요도 크게 늘었다.
지역별로 보면 단연 미국 중심으로 수출 지형이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은 387억 달러 규모로 전체 수출의 39.1%를 차지하며 단연 1위를 기록했고, 이는 10년 전보다 무려 12.6%p 상승한 수치다.
중국은 여전히 2위를 유지하고 있지만 비중은 6.7%로 1.6%p 줄었고, 일본 역시 0.7%p 하락했다. 반면, 캐나다(3.4%→5.4%), 네덜란드(0.5%→1.3%)와 카자흐스탄(0.6%→1.7%) 등 신흥국의 약진이 돋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재 수출 상위 5개 국가의 주요 품목을 살펴보면, 우리나라 전체 소비재 수출의 45% 비중을 차지하는 미국·캐나다 등 북미지역에서는 자동차, 가전제품과 같은 내구소비재가 수출 대부분을 차지하는 반면, 중국, 일본 등 아시아 국가에서는 식품, 담배와 같은 직접소비재와 화장품, 의류와 같은 비내구재 품목이 주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서용구 숙명여대 경영학과 교수는 "소비재는 상대적으로 경기 사이클에 덜 휘둘리고, K-브랜드 인지도가 높아지면서 해외진출 기반이 안정화되고 있다"며 "앞으로 성장성이 높거나 성장 잠재성이 높은 전략 품목을 선별해 집중적으로 육성한다면 안정적인 수출 확대가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희원 대한상의 유통물류진흥원장은 "우리 기업의 중앙아·동남아 등 유망 신흥시장에 대한 진출을 지원하고, 글로벌 소비트렌드 기반 전략 품목을 선정하여 K-브랜드와 K-pop, 케데헌과 같은 콘텐츠를 연계하는 등 지역별·국가별 맞춤형 전략으로 수출을 다변화해야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