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수주만 1조…밸브분야 국산화도
|
30일 LS일렉트릭은 지난 2013년 국내 유일 HVDC 변환설비 공급 사업자로 선정돼 글로벌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사업 신뢰성은 물론 안정적 생산 인프라까지 확보하고 있다고 밝혔다.
HVDC는 발전소에서 생산되는 교류(AC) 전력을 고압의 직류(DC) 형태로 변환시켜 송전한 뒤 최종 소비처 인근에서 다시 교류로 변환해 공급하는 기술이다. 기존 교류 송전보다 송전 손실이 적고 지중·해저 케이블 적용에 유리하다. 대규모 전력 수송에 있어 경제성과 안정성도 뛰어나다.
서해안 에너지 고속도로 사업은 올 초 발표된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라 오는 2036년까지 서해안에 총 620㎞ 길이의 해저 송전망을 구축하는 프로젝트다. 이재명 대통령은 기존 2036년이었던 목표 시점을 2030년으로 앞당겨 5년 내 실현을 약속했다. 이에 발맞춰 산업통상자원부가 최근 선정한 500kV급 대용량 전압형 HVDC 변압기 개발사업 참여기업에 LS일렉트릭이 포함됐다.
서해안 에너지 고속도로에는 전압형 HVDC가 적용될 예정이나, LS일렉트릭은 이보다 난도가 높은 전류형 HVDC 사업 경험도 보유했다.
최근 LS일렉트릭은 500MW급 전압형 HVDC 변환용 변압기 개발을 완료했다. 개발시험과 검수시험까지 모두 성공적으로 마치고 상용화를 눈앞에 두고 있다. 이는 국내에서 개발된 전압형 HVDC 변환용 변압기 중 가장 큰 용량이다. 해당 변압기는 한전이 인천시 부평구 갈산동에서 추진 중인 '신부평 HVDC 변환소'에 적용될 예정이다.
LS일렉트릭이 다양한 사업 경험을 보유하면서 초대형 HVDC 프로젝트를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역량을 가졌다는 평가다.
|
지난해에는 한국전력공사가 발주한 '500㎸ 동해안-동서울 HVDC 변환설비 건설사업' 2단계 프로젝트에서 변환용 변압기(CTR) 40대를 5610억원에 공급하며 관련 사업 누적 수주액은 약 1조원을 넘어섰다.
LS일렉트릭은 HVDC 변환설비의 또 다른 핵심인 밸브 분야에서도 기술 국산화를 준비 중이다. 미국 가전업체 GE의 에너지 사업부가 분사해 설립된 GE버노바와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전압형 HVDC 밸브 국산화를 위한 기술 협력을 본격화했다.
구자균 LS일렉트릭 회장은 최근 GE버노바와의 업무협약식에서 "HVDC 변환설비 기술을 국산화하여 국내 시장 주도권 확보는 물론이고, 글로벌 프로젝트 수주 확대를 통해 에너지 네트워크의 새로운 미래를 열 것"이라고 강조하며 HVDC 사업을 주도하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