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추석 앞두고도 정치권은 시끌…민생 두고 ‘발목잡기’ vs ‘포퓰리즘’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005010001449

글자크기

닫기

김동민 기자

승인 : 2025. 10. 05. 17:33

생활물가 상승 등 민생경제 두고 공방
PYH2025092920830001300_P4
더불어민주당을 중심으로 한 의원들이 지난달 필리버스터를 거쳐 5개 법안 처리를 끝낸 뒤 본회의장을 떠나고 있다. /연합
여당과 야당이 추석 명절을 앞둔 5일 생활물가 상승 등 민생경제를 둘러싸고 '네 탓' 공방을 벌이고 있다.

먼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의힘의 '발목잡기 정치'를, 국민의힘은 정부와 민주당의 '포퓰리즘 정책'을 지적하며 서로에게 민생고 심화 원인이 있다고 비판했다.

박지혜 민주당 대변인은 이날 국회 브리핑에서 "민생과 경제를 살리는 데 여야가 따로 있을 수 없다"며 "국민의힘은 정쟁을 위한 마구잡이식 '발목 잡기' 정치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밝혔다.

박 대변인은 "이재명 대통령은 추석 명절 인사를 통해 '국민 통합'과 '성장 회복'이라는 민생정책 방향을 제시했다"며 "대통령의 의지에 국회가 반드시 함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해서는 갈등의 정치를 넘어 국민을 위한 통합의 정치로 나아가야 한다"며 "국정 안정과 책임의 정치만이 국민의힘이 공당으로 거듭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덧붙였다.

반면 최수진 국민의힘 원내수석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통해 "추석을 앞두고 서민 식탁 전반의 물가가 폭등했지만, 이재명 정부는 기업의 불공정거래 탓으로 돌리고 있다"며 "현실 진단 대신 남 탓에만 몰두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최 수석대변인은 "시장경제의 기본원리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대통령의 경제관에 국민은 불안할 수밖에 없다"며 "민생쿠폰과 같은 포퓰리즘 정책이 물가 폭등의 근본 원인"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국민이 원하는 것은 보여주기식 쿠폰이 아니라 장바구니에서 체감할 수 있는 물가 안정"이라며 "서민의 밥상 물가를 실질적으로 안정시킬 근본적인 대책을 내놔야 한다"고 말했다.

지난 2일 발표된 '9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 물가지수는 전년 같은 기간보다 2.1% 상승했으며, 빵(6.5%), 커피(15.6%), 국산 소고기(4.8%), 돼지고기(6.3%), 고등어(10.7%) 등 식품 물가가 특히 큰 폭으로 올랐다.
김동민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