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생e 계통부담 해소, 송·변전 최적화
전력망 시설 유지보수 점검도 포함
|
6일 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이번 대책을 통해 계통 불균형에 대응하는 비상대응반을 운영하고, 수요와 공급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한다. 전력망 운영 체계와 관련 기관 간 협력 체계를 강화하고, 지역별 전력 수급 상황을 점검해 불필요한 전력 손실을 최소화한다. 특히 재생에너지 발전량 급증에 따른 계통 부담을 해소하고, 송전·변전 설비 운영을 최적화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이번 안정화 대책은 전력망 위원회에서 논의된 국가기간 전력망 및 초고압 직류송전(HVDC) 산업육성 전략과 연계된다. 정부는 장기적으로 HVDC 기반 에너지 고속도로 구축과 연계해 계통 안정성을 강화하고, 대규모 재생에너지 수용을 위한 기반을 마련한다. 경부하기 계통 안정화는 이러한 전력망 현대화 전략의 단기적 실천 방안으로, 기술적·제도적 보완을 포함한다.
전력수급 안정화를 위해 정부는 전력공급 능력 점검, 발전설비 예비력 관리, 전력거래소 수급 조정 등 다층적 조치를 추진한다. 특히 태양광 발전이 높은 낮 시간대와 전력 수요가 낮은 시점의 변동성을 완화하기 위해 ESS(에너지저장장치) 활용과 수요반응(DR) 제도를 적극 도입한다. 이를 통해 전력계통 안정성을 확보하면서 재생에너지 확대와 연계된 전력망 운영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전력 당국은 국민과 기업이 참여할 수 있는 정보 제공 체계를 강화한다. 전력 수급 불균형 예보, 비상 상황 발생 시 대응 방법, 전력 절약 참여 안내 등을 포함해 수요-공급 조정에 시민 참여를 유도한다. 이는 단순한 기술적 대응을 넘어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해 전력망 운영 안정성을 높이는 전략이다.
이번 계통 안정화 계획에는 전력망 시설 유지보수와 점검도 포함된다. 송전·변전소와 주요 배전망 설비를 점검하고, 고장이나 노후 설비로 인한 사고 가능성을 사전에 차단한다. 필요 시 신속한 장비 교체와 긴급 대응 체계를 가동해 전력 공급 중단 위험을 최소화한다.
정부는 경부하기 계통 안정화 전략을 통해 전력망 신뢰성을 확보하고, 계통 안정화 경험을 바탕으로 장기적인 전력망 현대화 정책과 연계한다. 전력망 위원회 관계자는 "이번 안정화 대책은 단기적 수급 문제 해결뿐만 아니라, 미래 재생에너지 확대와 에너지 고속도로 구축의 기반을 다지는 중요한 단계"라고 설명했다.
한편, 전력당국은 이번 기간 동안 지역별 전력 상황과 발전설비 운용 현황을 공개하고, 필요 시 주민과 기업 대상 전력 사용 안내를 강화한다. 이를 통해 안정적 전력 공급과 지역 사회의 수용성을 동시에 확보한다는 계획이다.